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2-08 10:04:27      ·조회수 : 4,774     

감귤에 피해를 입히는 새로운 해충들이 발견됐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실시한 ‘감귤에 발생하는 해충종류 및 분포조사’에 따르면 머리귀뚜라미 등 모두 10종의 해충이 새롭게 확인됐다. 이는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이 2000년에 보고한 감귤 해충종류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다. 당시 감귤시험장이 보고한 해충은 총 74종.

 도농기원은 작은뾰족민달팽이와 귤노랑깍지벌레·줄고운가지나방 등 새로운 해충들이 감귤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 해충은 과거에는 조사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밀도가 낮았으나 근래 들어 눈에 띄기 시작했다는 것. 도농기원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친환경 재배가 늘면서 해충이 서서히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는 일부 포장에서만 발견됐으며 아직까지 피해가 미미해 방제 필요성은 없다는 설명이다.

 과거보다 피해를 증가시키는 해충도 나타났다. 귤녹응애와 화살깍지벌레·선녀벌레·볼록총채벌레·애넓적밑빠진벌레·차잎말이나방 등 13종의 해충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볼록총채벌레와 애넓적밑빠진벌레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온난화로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월동이 원활해지고, 이로 인해 번식력이 왕성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볼록총채벌레는 근래 들어 해마다 확산되며 피해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다.

 반면 피해가 감소하는 해충도 조사됐다. 귤응애와 뒷흰날개밤나방·꽃노랑총채벌레 등 3종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가온 하우스에서 주로 발견되는 꽃노랑총채벌레는 최근 고유가 추세에 따른 농가들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다. 농가들이 가온을 포기하면서 재배면적이 줄자 꽃노랑총채벌레 발생도 줄고 있다는 해석이다. 또 외래해충인 뒷흰날개밤나방은 유입 초기 2~3년 동안 피해가 심했지만 그후 천적 등이 생기면서 자연적으로 밀도가 감소한 경우다.

 송정흡 도농기원 연구사는 “새로운 해충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계획”이라며 “방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연구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 농민신문 제주 강영식 기자 >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52 서귀포시,오는 9월말 '노지감귤 품질검사원 교육'예정 기획정보과 2014-08-12 2193
1051 서귀포시,감귤 강제착색등 불법 행위 단속 기획정보과 2014-08-12 1651
1050 올해 추석 과일 공급 '안정세' 전망 기획정보과 2014-08-08 1747
1049 감귤 선과장 '품질검사원'접수..31일까지 신고 기획정보과 2014-08-07 1721
1048 내년부터 제수산 한라봉,천혜향 미국 수출 전망 기획정보과 2014-08-06 2164
1047 수입 과일의 공세, 밀리는 토종 과일을 구하라 기획정보과 2014-08-05 1932
1046 '감귤박'자원화 한다 기획정보과 2014-07-25 1967
1045 서귀포농협, GAP감귤 사업설명회 및 마케팅 협의회 회의 기획정보과 2014-07-24 1851
1044 "감귤,광어등 양허제외 품목에 반영을" 기획정보과 2014-07-24 1814
1043 서울 가락&강서도매시장 하계 휴무일 실시 기획정보과 2014-07-18 2027
1042 황금향 첫 여름 수확 성공 '눈길' 기획정보과 2014-07-18 2035
1041 감귤산업 발전을 위한 유관기관간 현업 워크숍 기획정보과 2014-07-18 1683
1040 감귤 재배 면적 줄고 만감류 품종 갱신 기획정보과 2014-07-16 1791
1039 감귤북한보내기 사업 재개되나 기획정보과 2014-07-14 2089
1038 각종 논란에도 감귤거래소 설치 강행하나 기획정보과 2014-07-11 1877
1037 "고품질 노지감귤, 타이벡 작업 서둘러야" 기획정보과 2014-07-09 1878
1036 올해산 감귤수출 5700톤 설정 기획정보과 2014-07-09 1870
1035 [한국농촌경제연구원]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51만 2000 ~ 52만 1000톤 기획정보과 2014-07-08 1842
1034 FTA 농축수산 분야 '비상' 기획정보과 2014-07-04 1878
1033 농작물 재배지 북상..아열대 작물 재배 '주의' 기획정보과 2014-07-04 166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