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농작물 병충해 돌발 긴급대처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1-31 09:38:25      ·조회수 : 2,192     

농작물 병충해 돌발 긴급대처
농진청, 통합 관리시스템 본격 가동

농촌진흥청이 ‘국가 병해충 관리시스템(이하 ‘NPMS', http://npms.rda.go.kr)’을 구축,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해 농업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농작물 병해충에 대해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서다.

30일 농진청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지금까지 국립농업과학원 등 농촌진흥청 소속기관별로 별도 운영해 오던 벼 병해충 예찰정보시스템, 과수종합정보시스템, 농작물 생육상황시스템, 농작물 병․해충․잡초정보 등 4개의 전산시스템을 통합하고 병해충 작목을 확대해 새롭게 구축한 것이다.

과거에는 벼의 병해충 발생 정보만 수집했던 것을 벼, 사과, 배, 포도, 감귤, 단감, 고추, 콩, 맥류 등 9개 작물로 주요 돌발병해충의 대상범위를 확대시켰다.

또한, 주산지에서 예찰한 병해충 발생 정보 등을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등록하고, 전국의 병해충 발생과 그에 따른 제반 상황을 웹 지도상에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했다.

이로써 농촌진흥청은 농작물 병해충에 대한 발생 예찰에서부터 예측, 진단까지의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울대 박은우 교수 연구팀과 협력해 개발한 벼, 사과, 배, 감귤, 고추의 30종 병해충 예측모형을 국가농림기상센터에서 제공하는 960m 격자단위의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병해충 발생 예측정보를 일 혹은 시간 단위로 실시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농장단위로 병해충 예측 모형을 참고하여 실시간으로 방제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됐고, 농업인들은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하면 내 농장의 병해충 예측정보와 그에 따른 방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 ‘국가 병해충 관리시스템’을 통해 농작물 병해충에 대한 이미지를 검색해 누구나 쉽게 진단할 수 있고, 진단결과에 대한 발생 생태 및 방제정보를 제공하게 됐다.

여기에 전국 농촌진흥기관의 병해충 전문가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전문가 진단 시스템을 구축해 새로운 병해충 발생 시 보다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추후 병해충 정보를 유관기관 시스템과 정보연계를 통해 국가적으로 농작물 병해충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립하는 계기도 마련했다.

농촌진흥청 임재암 기획조정관은 “앞으로 병해충 발생에 대한 조기진단과 방제체계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농가피해를 더욱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고, 아·태지역의 이동성 병해충을 총괄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해 국가위상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34 FTA 농축수산 분야 '비상' 기획정보과 2014-07-04 1980
1033 농작물 재배지 북상..아열대 작물 재배 '주의' 기획정보과 2014-07-04 1747
1032 [동영상]농작물 재배지 북상..아열대 작물재배 주의.. 기획정보과 2014-07-04 8662
1031 장마철엔 농작물 어떻게 관리하지??? 기획정보과 2014-07-03 1510
1030 제주감귤 영국·유럽 수출 창구 단일화 기획정보과 2014-06-30 1557
1029 감귤 열매에 피해 주는 '총채벌레'개체수 확 줄어 기획정보과 2014-06-30 1636
1028 제주농협 명품감귤사업단 조직은.... 기획정보과 2014-06-26 1852
1027 감귤 조수입 1조원 농가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4-06-25 1968
1026 감귤거래소 설치, 실현 타당성 논란 기획정보과 2014-06-25 1632
1025 제주시 '감귤밭토양피복지원사업'대상자 사전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4-06-24 1837
1024 연내 꽃피고 출하할 수 있는 만감류 품종 나오나? 기획정보과 2014-06-20 1965
1023 과일시장 침체에도 제주 하우스감귤 출하 활기 기획정보과 2014-06-17 1496
1022 지역 첫 감귤 수출 협의체 구성 관심 기획정보과 2014-06-17 1674
1021 제주감귤 적정생산량 55만톤..1번과 출하는 자율에 맡겨야 기획정보과 2014-06-12 2302
1020 감귤 대표 브랜드 10개로 압축...내달 최종 선정 기획정보과 2014-06-10 1870
1019 하우스감귤,이달도 가격 호조세 전망 기획정보과 2014-06-09 1579
1018 제주 노지감귤 올 생산량 주춤…고공행진 기대 기획정보과 2014-06-05 1918
1017 제주도 감귤유통시설 현대화사업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4-05-29 2212
1016 올해(14년산) 노지감귤 생산량 51만 2000톤 예상 기획정보과 2014-05-28 1763
1015 하우스감귤 통합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4-05-28 170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