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미국 오렌지 밀려오지만 정부 수수방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2-05 07:58:32      ·조회수 : 2,11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로 값싼 미국 오렌지가 밀려오지만 정부의 감귤 경쟁력 강화 약속은 빛을 바래고 있다.

정부가 4년전 한·미FTA 타결후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약속했던 타이벡 재배면적 확대 및 시설현대화사업 지원 규모가 폐지되거나 축소, 제주 홀대론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지난 7월 한·미FTA 발효에 따른 국내 과수분야 생산 감소액을 분석한 결과 감귤의 15년차 누적 피해액이 9589억원으로 가장 심했다.

감귤 피해액은 같은 기간 사과 피해약 9260억원은 물론 배 피해액 6052억원 보다 많는 등 한·미FTA 발효로 도내 감귤재배농가와 지역경제의 극심한 피해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하지만 정부는 4년전 약속했던 타이벡 재배면적 확대 약속을 중단하는 등 국정 일관성을 스스로 훼손시키고 있다.

정부는 2007년 4월 한·미FTA 타결후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06년 기준 타이벡 재배면적 5%를 2017년까지 38%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2008~2010년 3개년에 한해서만 FTA 기금을 지원한후 올해부터 중단했다.

FTA 기금을 활용, 2008~2010년 전체 사업비의 45%(국비 보조 25·융자 20)를 지원했지만 올해부터는 보조·융자를 전면 중단했기 때문이다.<표 참조>

때문에 제주도가 고육지책으로 도비 60%와 농가 부담 40%로 타이벡 재배사업을 진행, 지방재정난 악화 및 농가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농촌진흥청 등 전문 연구기관의 실증 결과 타이벡 재배가 감귤의 착과량 향상·수분 조절을 통해 당도를 향상, 미국산 오렌지와 경쟁할 수 있는 고품질 열매를 생산하고 있지만 정부는 타이벡을 '소모성 자재'로 인식, 올해부터 국비(FTA 기금)를 지원하지 않고 있다.

특히 FTA 발효로 큰 피해가 예상되는 비가림하우스 등 고품질 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에 따른 국비 지원율 25%도 올해부터 20%로 축소, 정부의 지원 의지가 시들해지고 있다.

미국산 오렌지 수입 관세 50%가 FTA 발효 즉시 한라봉 등 시설감귤 성출하기인 3~8월에 30%로 축소된후 7년간에 걸쳐 완전 철폐, 직격탄을 맞지만 정부는 하우스·발전기·자동개폐기 등 시설현대화사업 국비 지원율을 축소, 4년전 발표했던 약속을 스스로 뒤집는 셈이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중단한 타이벡 지원을 비파괴선과기로 전환, 60억원을 받았다"며 "하지만 농가들의 타이벡 및 시설현대화 신청이 증가, 정부와 다시 지원 여부를 협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제민일보 박훈석 기자>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33 농작물 재배지 북상..아열대 작물 재배 '주의' 기획정보과 2014-07-04 1739
1032 [동영상]농작물 재배지 북상..아열대 작물재배 주의.. 기획정보과 2014-07-04 8651
1031 장마철엔 농작물 어떻게 관리하지??? 기획정보과 2014-07-03 1506
1030 제주감귤 영국·유럽 수출 창구 단일화 기획정보과 2014-06-30 1553
1029 감귤 열매에 피해 주는 '총채벌레'개체수 확 줄어 기획정보과 2014-06-30 1626
1028 제주농협 명품감귤사업단 조직은.... 기획정보과 2014-06-26 1838
1027 감귤 조수입 1조원 농가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4-06-25 1953
1026 감귤거래소 설치, 실현 타당성 논란 기획정보과 2014-06-25 1620
1025 제주시 '감귤밭토양피복지원사업'대상자 사전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4-06-24 1824
1024 연내 꽃피고 출하할 수 있는 만감류 품종 나오나? 기획정보과 2014-06-20 1949
1023 과일시장 침체에도 제주 하우스감귤 출하 활기 기획정보과 2014-06-17 1488
1022 지역 첫 감귤 수출 협의체 구성 관심 기획정보과 2014-06-17 1666
1021 제주감귤 적정생산량 55만톤..1번과 출하는 자율에 맡겨야 기획정보과 2014-06-12 2284
1020 감귤 대표 브랜드 10개로 압축...내달 최종 선정 기획정보과 2014-06-10 1861
1019 하우스감귤,이달도 가격 호조세 전망 기획정보과 2014-06-09 1567
1018 제주 노지감귤 올 생산량 주춤…고공행진 기대 기획정보과 2014-06-05 1899
1017 제주도 감귤유통시설 현대화사업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4-05-29 2204
1016 올해(14년산) 노지감귤 생산량 51만 2000톤 예상 기획정보과 2014-05-28 1749
1015 하우스감귤 통합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4-05-28 1702
1014 감귤농협 FTA대응 감귤 수출 확대를 위한 선도농가 육성 교육 기획정보과 2014-05-23 158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