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2-08 10:04:27      ·조회수 : 4,772     

감귤에 피해를 입히는 새로운 해충들이 발견됐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실시한 ‘감귤에 발생하는 해충종류 및 분포조사’에 따르면 머리귀뚜라미 등 모두 10종의 해충이 새롭게 확인됐다. 이는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이 2000년에 보고한 감귤 해충종류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다. 당시 감귤시험장이 보고한 해충은 총 74종.

 도농기원은 작은뾰족민달팽이와 귤노랑깍지벌레·줄고운가지나방 등 새로운 해충들이 감귤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 해충은 과거에는 조사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밀도가 낮았으나 근래 들어 눈에 띄기 시작했다는 것. 도농기원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친환경 재배가 늘면서 해충이 서서히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는 일부 포장에서만 발견됐으며 아직까지 피해가 미미해 방제 필요성은 없다는 설명이다.

 과거보다 피해를 증가시키는 해충도 나타났다. 귤녹응애와 화살깍지벌레·선녀벌레·볼록총채벌레·애넓적밑빠진벌레·차잎말이나방 등 13종의 해충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볼록총채벌레와 애넓적밑빠진벌레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온난화로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월동이 원활해지고, 이로 인해 번식력이 왕성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볼록총채벌레는 근래 들어 해마다 확산되며 피해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다.

 반면 피해가 감소하는 해충도 조사됐다. 귤응애와 뒷흰날개밤나방·꽃노랑총채벌레 등 3종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가온 하우스에서 주로 발견되는 꽃노랑총채벌레는 최근 고유가 추세에 따른 농가들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다. 농가들이 가온을 포기하면서 재배면적이 줄자 꽃노랑총채벌레 발생도 줄고 있다는 해석이다. 또 외래해충인 뒷흰날개밤나방은 유입 초기 2~3년 동안 피해가 심했지만 그후 천적 등이 생기면서 자연적으로 밀도가 감소한 경우다.

 송정흡 도농기원 연구사는 “새로운 해충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계획”이라며 “방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연구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 농민신문 제주 강영식 기자 >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32 [동영상]농작물 재배지 북상..아열대 작물재배 주의.. 기획정보과 2014-07-04 8547
1031 장마철엔 농작물 어떻게 관리하지??? 기획정보과 2014-07-03 1411
1030 제주감귤 영국·유럽 수출 창구 단일화 기획정보과 2014-06-30 1490
1029 감귤 열매에 피해 주는 '총채벌레'개체수 확 줄어 기획정보과 2014-06-30 1525
1028 제주농협 명품감귤사업단 조직은.... 기획정보과 2014-06-26 1741
1027 감귤 조수입 1조원 농가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4-06-25 1851
1026 감귤거래소 설치, 실현 타당성 논란 기획정보과 2014-06-25 1553
1025 제주시 '감귤밭토양피복지원사업'대상자 사전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4-06-24 1726
1024 연내 꽃피고 출하할 수 있는 만감류 품종 나오나? 기획정보과 2014-06-20 1870
1023 과일시장 침체에도 제주 하우스감귤 출하 활기 기획정보과 2014-06-17 1404
1022 지역 첫 감귤 수출 협의체 구성 관심 기획정보과 2014-06-17 1576
1021 제주감귤 적정생산량 55만톤..1번과 출하는 자율에 맡겨야 기획정보과 2014-06-12 2208
1020 감귤 대표 브랜드 10개로 압축...내달 최종 선정 기획정보과 2014-06-10 1767
1019 하우스감귤,이달도 가격 호조세 전망 기획정보과 2014-06-09 1480
1018 제주 노지감귤 올 생산량 주춤…고공행진 기대 기획정보과 2014-06-05 1816
1017 제주도 감귤유통시설 현대화사업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4-05-29 2127
1016 올해(14년산) 노지감귤 생산량 51만 2000톤 예상 기획정보과 2014-05-28 1664
1015 하우스감귤 통합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4-05-28 1631
1014 감귤농협 FTA대응 감귤 수출 확대를 위한 선도농가 육성 교육 기획정보과 2014-05-23 1517
1013 하우스감귤 출하 초기 '호조세' 기획정보과 2014-05-20 182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