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한라봉.감귤 '지리적 표시' 등록 주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6-19 08:30:12      ·조회수 : 2,913     

국민과일로 인정받고 있는 제주 감귤과 한라봉에 대한 지리적표시제 등록 방안이 구체적으로 검토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가속화되는 FTA(자유무역협정)와 기후 온난화에 대비해 제주 감귤류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등록 추진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본부장 강석률)는 최근 제주 한라봉 지리적표시제 등록 추진을 검토하기 위해 농정당국과 농업 유관기관, 생산자단체, 농가 등이 참여하는 추진협의회를 구성해 운영에 들어갔다.

제주 한라봉에 대한 지리적표시제 등록 검토는 최근 전남 나주와 고흥 등 남해안 일대 내륙지방에서 생산되는 한라봉과 차별화를 꾀하기 위한 것으로, 감귤 대표조직인 (사)제주감귤연합회(회장 강희철 서귀포농협 조합장)에서 신청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특히 사전 검토 결과 제주 한라봉은 우리나라 최남단 온난화 기후의 지리적 특성에 따른 우수한 품질을 갖고 있는데다 지역특화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수 지역특산품으로 평가받고 있어 지리적 표시 등록 필요성과 가능성을 갖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도내 생산 시기가 약 15년에 그쳐 상대적으로 짧다는 게 지리적 표시 등록 요건인 ‘역사성’을 충족시키는데 다소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제주 한라봉만 지리적표시제를 등록 추진하는 것보다 제주 감귤을 함께 등록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되면서 제주 감귤과 한라봉에 대한 지리적표시제 등록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제주농협은 보성 녹차와 고창 복분자 등의 사례 분석에 나서고 있는데, 이달 말까지 구체적으로 지리적 표시 등록 추진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어 컨설팅 전문업체 선정을 통한 지리적 표시 등록 절차를 이행한 후 연말까지 한라봉과 감귤에 대한 등록 신청 및 출원을 마무리할 방침이어서 최종 등록 향방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한편 현재 도내에서는 옥돔과 돼지고기, 톳, 추자도참굴비 등이 지리적표시제 등록을 완료했으며 전복과 고등어, 갈치 등이 등록 추진되고 있다.

문의 제주농협 감귤팀 720-1341
< 제주일보 김태형 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32 [동영상]농작물 재배지 북상..아열대 작물재배 주의.. 기획정보과 2014-07-04 8553
1031 장마철엔 농작물 어떻게 관리하지??? 기획정보과 2014-07-03 1417
1030 제주감귤 영국·유럽 수출 창구 단일화 기획정보과 2014-06-30 1510
1029 감귤 열매에 피해 주는 '총채벌레'개체수 확 줄어 기획정보과 2014-06-30 1532
1028 제주농협 명품감귤사업단 조직은.... 기획정보과 2014-06-26 1759
1027 감귤 조수입 1조원 농가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4-06-25 1864
1026 감귤거래소 설치, 실현 타당성 논란 기획정보과 2014-06-25 1563
1025 제주시 '감귤밭토양피복지원사업'대상자 사전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4-06-24 1734
1024 연내 꽃피고 출하할 수 있는 만감류 품종 나오나? 기획정보과 2014-06-20 1872
1023 과일시장 침체에도 제주 하우스감귤 출하 활기 기획정보과 2014-06-17 1411
1022 지역 첫 감귤 수출 협의체 구성 관심 기획정보과 2014-06-17 1583
1021 제주감귤 적정생산량 55만톤..1번과 출하는 자율에 맡겨야 기획정보과 2014-06-12 2214
1020 감귤 대표 브랜드 10개로 압축...내달 최종 선정 기획정보과 2014-06-10 1778
1019 하우스감귤,이달도 가격 호조세 전망 기획정보과 2014-06-09 1482
1018 제주 노지감귤 올 생산량 주춤…고공행진 기대 기획정보과 2014-06-05 1820
1017 제주도 감귤유통시설 현대화사업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4-05-29 2131
1016 올해(14년산) 노지감귤 생산량 51만 2000톤 예상 기획정보과 2014-05-28 1666
1015 하우스감귤 통합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4-05-28 1636
1014 감귤농협 FTA대응 감귤 수출 확대를 위한 선도농가 육성 교육 기획정보과 2014-05-23 1519
1013 하우스감귤 출하 초기 '호조세' 기획정보과 2014-05-20 183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