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삼나무 꽃가루’ 아토피 유발 주의보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0 10:02:35      ·조회수 : 2,528     

제주지역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알레르기 비염 등 환경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려면 삼나무 꽃가루 등이 많이 발생할 때 ‘삼나무 꽃가루 경보’를 발령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부설 환경보건센터(센터장 홍성철)는 9일 제주지역 환경성 질환의 원인이 집먼지 진드기류, 삼나무 꽃가루 및 공기 중에 있는 알터나리아(Alternaria) 곰팡이 순으로 조사돼, 이들 물질이 제주지역 아토피 질환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2008년부터 제주지역 아토피 질환의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인 제주대 환경보건센터는 이날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제주대 환경보건센터는 이날 발표에서 지난 4월 초 인천, 울산 지역의 환경보건센터와 공동으로 지역별로 1974~2539명씩 조사한 결과 제주지역 초·중·고교생 가운데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학생은 27.8%로 나타났고, 인천은 30.9%, 울산은 23.2%였다고 밝혔다.

특히 제주지역의 알레르기 원인물질 가운데 삼나무 꽃가루는 감귤지배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알터나리아 곰팡이는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퍼져있는 양상을 보였다. 또 삼나무 꽃가루는 2월 말부터 4월 초까지 날리고, 3월 초께 최고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보건센터는 이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황사경보를 발령하는 것처럼 삼나무 꽃가루 등이 많이 발생하는 기간에는 제주기상청과 연계해 삼나무 꽃가루 경보를 발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제주대병원이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환경성 질환자 발생을 점검한 결과 알레르기비염 진료 건수가 9만1327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천식은 8만4784건,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8만4066건, 아토피 피부염은 3만4373건의 순으로 분석됐다. 환경보건센터는 삼나무 꽃가루 등 주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중심으로 시기별, 지역별 분포를 관찰할 계획이다.

홍성철 센터장은 “환경성 질환은 원인 규명이 어렵고 완치방법이 없는 만큼, 예방대책 및 치료방향을 설정하려면 최소 5~10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24 연내 꽃피고 출하할 수 있는 만감류 품종 나오나? 기획정보과 2014-06-20 2478
1023 과일시장 침체에도 제주 하우스감귤 출하 활기 기획정보과 2014-06-17 1775
1022 지역 첫 감귤 수출 협의체 구성 관심 기획정보과 2014-06-17 2056
1021 제주감귤 적정생산량 55만톤..1번과 출하는 자율에 맡겨야 기획정보과 2014-06-12 2747
1020 감귤 대표 브랜드 10개로 압축...내달 최종 선정 기획정보과 2014-06-10 2190
1019 하우스감귤,이달도 가격 호조세 전망 기획정보과 2014-06-09 1796
1018 제주 노지감귤 올 생산량 주춤…고공행진 기대 기획정보과 2014-06-05 2167
1017 제주도 감귤유통시설 현대화사업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4-05-29 2476
1016 올해(14년산) 노지감귤 생산량 51만 2000톤 예상 기획정보과 2014-05-28 1995
1015 하우스감귤 통합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4-05-28 1903
1014 감귤농협 FTA대응 감귤 수출 확대를 위한 선도농가 육성 교육 기획정보과 2014-05-23 1802
1013 하우스감귤 출하 초기 '호조세' 기획정보과 2014-05-20 2268
1012 제주농협, 감귤 대표 브랜드 공모...52건 접수 기획정보과 2014-05-19 1863
1011 농협 하우스감귤 계통출하 총력전 기획정보과 2014-05-16 2488
1010 올해 FTA기금 8개 사업 205억원 추진 기획정보과 2014-05-14 2109
1009 [동영상]감귤 신품종 기획정보과 2014-05-12 2438
1008 요즘 나오는 무가온 감귤 '카라향'을 아시나요 기획정보과 2014-05-09 2708
1007 올해 감귤 재배 면적 감소 기획정보과 2014-05-07 2003
1006 감귤명품화 국비 비율 여전히 낮다 기획정보과 2014-05-07 1944
1005 제주 올해 노지감귤 관측조사 실시 기획정보과 2014-05-02 184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