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생산·출하 역할 분담 원년 기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0-18 08:07:15      ·조회수 : 1,825     

2011년산 노지감귤 출하가 시작된 가운데 거래가격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올해산 감귤생산량은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올해 노지감귤 생산량은 58만5000t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48만565t에 비해 21.7%가 증가한 것이나 2009년 65만5046t에 비해서는 10.7%가 감소한 것이다.
생산량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노지감귤 조수입 목표(4095억원)는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문제는 매년 되풀이되고 있음에도 근절되지 않고 있는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과 적절한 출하대책이 이뤄지느냐의 여부다.
다행히 올해산 노지감귤은 8월말 이후 맑은 날씨가 이어지면서 품질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출하 초기이기는 하지만 10㎏상자당 2만원선을 넘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많음에도 불구 당도 등 품질이 좋은 만큼 출하 조절책만 제대로 된다면 소비자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해 노지감귤이 예년에 비해 떨어졌음에도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물량 조절이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좋은 예이다.
따라서 감귤 제값받기 실현을 위한 농가와 생산자단체, 행정의 철저한 역할 분담이 작동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농가와 행정 당국 못지않게 생산자단체와 중간상인들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생산자단체의 경우 단순한 계통출하를 통한 중계역할만 할 것이 아니라 분산 출하 조절과 마케팅, 홍보 등에도 비중을 둬야 한다는 것이다. 중간상인들 또한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덜 익거나 강제로 착색한 비상품 감귤 출하 행위를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제주도는 관 주도가 반드시 타파돼야 감귤산업이 제 궤도를 달릴 수 있다는 원칙을 갖고 감귤행정을 펴고 있음은 이미 실천했어야 할 일이다.
올해는 이러한 유기적 역할분담이 체계적으로 실천되고 감귤 가격 또한 높게 받을 수 있은 원년이 되길 기대한다. 그래야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살아남을 수 있다
<제민일보 사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24 연내 꽃피고 출하할 수 있는 만감류 품종 나오나? 기획정보과 2014-06-20 2477
1023 과일시장 침체에도 제주 하우스감귤 출하 활기 기획정보과 2014-06-17 1770
1022 지역 첫 감귤 수출 협의체 구성 관심 기획정보과 2014-06-17 2056
1021 제주감귤 적정생산량 55만톤..1번과 출하는 자율에 맡겨야 기획정보과 2014-06-12 2747
1020 감귤 대표 브랜드 10개로 압축...내달 최종 선정 기획정보과 2014-06-10 2185
1019 하우스감귤,이달도 가격 호조세 전망 기획정보과 2014-06-09 1791
1018 제주 노지감귤 올 생산량 주춤…고공행진 기대 기획정보과 2014-06-05 2167
1017 제주도 감귤유통시설 현대화사업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4-05-29 2471
1016 올해(14년산) 노지감귤 생산량 51만 2000톤 예상 기획정보과 2014-05-28 1995
1015 하우스감귤 통합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4-05-28 1903
1014 감귤농협 FTA대응 감귤 수출 확대를 위한 선도농가 육성 교육 기획정보과 2014-05-23 1802
1013 하우스감귤 출하 초기 '호조세' 기획정보과 2014-05-20 2268
1012 제주농협, 감귤 대표 브랜드 공모...52건 접수 기획정보과 2014-05-19 1863
1011 농협 하우스감귤 계통출하 총력전 기획정보과 2014-05-16 2483
1010 올해 FTA기금 8개 사업 205억원 추진 기획정보과 2014-05-14 2104
1009 [동영상]감귤 신품종 기획정보과 2014-05-12 2438
1008 요즘 나오는 무가온 감귤 '카라향'을 아시나요 기획정보과 2014-05-09 2708
1007 올해 감귤 재배 면적 감소 기획정보과 2014-05-07 2003
1006 감귤명품화 국비 비율 여전히 낮다 기획정보과 2014-05-07 1944
1005 제주 올해 노지감귤 관측조사 실시 기획정보과 2014-05-02 184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