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639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04 감귤 브랜드명 통일..특일까 실일까 기획정보과 2014-05-01 2353
1003 "제주 감귤 대표 이름 도민 공모한다" 기획정보과 2014-05-01 2459
1002 하우스 첫출하... 기획정보과 2014-04-30 2567
1001 명품감귤사업단 본격가동 기획정보과 2014-04-29 2714
1000 감귤식품산업클러스터 시동건다 기획정보과 2014-04-28 2080
999 감귤 초보 농업인 제주농업기술센터로 오세요 기획정보과 2014-04-28 2680
998 올해(14년산) 노지감귤 봄순 발아 5일 빨라 기획정보과 2014-04-25 2367
997 제주형 명품 노지 감귤 나온다 기획정보과 2014-04-18 2552
996 감귤 유통구조 개선, 고품질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4-04-18 2465
995 감귤재해보험 가입율 0.1% '무용지물' 기획정보과 2014-04-17 2253
994 농기원, 감귤 성목이식 사업....감귤농가 '달콤한 꿈' 기획정보과 2014-04-17 2403
993 감귤 수출 증가하는데 해상 운송 대책 없다 기획정보과 2014-04-15 1820
992 미국에 감귤 수출확대 추진...미국수출 농가설명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4-04-15 1889
991 감귤껍질에서 간 손상 예방 물질 개발 기획정보과 2014-04-14 2025
990 미-브라질 수확 감소 전망에 오렌지 주스가격 2년래 최고치 기획정보과 2014-04-14 2070
989 감귤 따지 않고 당도 측정 가능 기획정보과 2014-04-14 2091
988 감귤 명품화 "우리 스스로" 기획정보과 2014-04-11 1952
987 감귤APC 확대 소형 선과장 정리부터 기획정보과 2014-04-10 2408
986 한라봉, 높은 당도에 칼로리 낮아 '다이어트 과일' 기획정보과 2014-04-08 2654
985 수입과일 산지가 변했네 기획정보과 2014-04-04 285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