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4-03 12:55:26      ·조회수 : 3,208     

감귤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이 실시된지 10년째를 맞고 있지만 가입 실적은 1%대로 극히 저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실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 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과 보험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보험으로, 2001년 사과와 배를 시작으로 2002년 감귤과 포도 등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시행 11년만에 35개 품목으로 확대된데다 지난해까지 9만3800여 농가에서 보험금 5202억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올리며 농업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사과와 감귤 등 품목별 보험 가입률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양적 확대보다는 내실화를 도모하는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내 대표 작목인 감귤인 경우 지난해 보험 대상 면적 1만7734ha 가운데 1.22%에 불과한 216ha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 부문에서 가입률이 가장 낮았으며 무려 86.8%의 가입률을 보인 사과와 큰 대조를 이뤘다.

농경연도 “보험 실시 10년째인 감귤인 경우 가입률이 1.22%에 불과하는 등 전체 25개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의 가입률이 10% 미만으로 농가 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감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이 저조한 것은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으로, 도내 농업계에서는 지역적 기후 및 품목별 특성 등을 반영해 보상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실효성 있는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농경연도 이에대해 “감귤 등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검토하는 등 내실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농경연은 특히 “품목별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기상 여건 특성을 반영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해 앞으로 제도 보완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의 농경연 02-3299-4348.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44 감귤 재배면적은 줄고...오렌지 수입량은 늘고 기획정보과 2014-02-06 2133
943 캘리포니아 추위, 가뭄....감귤류 피해 기획정보과 2014-02-06 2851
942 부태감귤 하천변 무단투기 "꼼짝마" 기획정보과 2014-02-06 2076
941 美캘리포니아 추위에 오렌지 생산타격...국내도 영향 기획정보과 2014-02-05 2203
940 제주농협 명품감귤사업단 가동 기획정보과 2014-02-03 2160
939 서귀포시, 올해 감귤 FTA기금 410억원 투입 기획정보과 2014-01-28 2423
938 불로초,맛·영양 최상위급 자랑하는 감귤 브랜드 기획정보과 2014-01-24 2180
937 2014년도 9대도매시장 '설' 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4-01-23 2057
936 감귤류 보호품종 첫 '탄생' 기획정보과 2014-01-22 2543
935 한라봉의 '굴욕'..진지향, 천혜향에 밀려 매출 감소 기획정보과 2014-01-17 5288
934 자근 문제 해결 위한 장단기 대첵 제시 기획정보과 2014-01-17 2416
933 감귤 추출물 활용 상품개발 활기 기획정보과 2014-01-17 1916
932 '한라봉'등 만감류시장 급성장 기획정보과 2014-01-15 2214
931 겨울철 과일가격 '들썩'...감귤도 맘 편히 못 먹겠네 기획정보과 2014-01-15 2170
930 설 대목장 과일 거래전망 및 출하전략(단감,감귤) 기획정보과 2014-01-13 1970
929 우지사, "한중 FTA협상으로 제주가 얻을 혜택은 제한" 기획정보과 2014-01-08 2399
928 제주감귤농협, 경제사업 2,600억원 초과달성 기획정보과 2014-01-07 2011
927 2014년 9대도매시장별 신정 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3-12-26 2184
926 "감귤 세계명품화, 유통창구 일원화 필수" 기획정보과 2013-12-24 2391
925 업무보조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3-12-19 18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