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계획생산·휴경명령’제도 도입 어떨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2-14 08:53:15      ·조회수 : 2,134     

감귤 ‘계획생산·휴경명령’제도 도입 어떨까?

구성지 의원, 노지감귤 안정생산 위한 정책제언

제주감귤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획생산제’시행 및 ‘농경휴경제’ 도입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정책제언이 나왔다.


▲ 구성지 의원(안덕, 한나라당). ⓒ제주의소리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 구성지 의원(안덕, 한나라당)은 11일 속개된 제279회 임시회에서 제주도(농축산식품국)로부터 2011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받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구 의원은 먼저 제주감귤산업의 중요성과 관련해 제주지역 1차 산업의 비중(18.8%)이 전국 평균(2.7%)에 비해 6~7배나 높고, 제주지역 1차 산업 조수입(2조5793억) 중에서 23.3%(6011억)을 감귤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제주감귤을 살리기 위한 농가의 간벌, 휴식년제, 적화·적과 등의 감산정책으로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우뚝 설 수 있었다고도 했다. 하지만 일부 ‘무임승차’하는 농가들 때문에 효과를 거양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구 의원은 “올해산 노지감귤은 해거리 현상으로 안정생산량 5만8000톤보다 8만9000톤이 많은 6만6900톤까지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면서 “제주도가 수립한 현재의 2만2000톤 감산정책 및 8만9000톤 처리대책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구 의원은 특히 “제주도가 올해 감귤 적정생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 이후 한달만에 1/2간벌 1000㏊, 휴식년제 1000㏊를 확대하겠다는 것은 수급예측을 못한 것”이라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구 의원은 ‘감귤 계획생산제 시행’과 농가별 ‘휴경명령제’ 도입을 제안했다.

구 의원은 “감귤생산량을 처음부터 계획해서 농가별 휴경명령제를 시행하고, 무임승차하는 농가에 대해서는 패널티를 강화한다면 감귤 안전생산을 통한 제값 받기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24 한중FTA 초민감품목에 감귤 포함될 듯 기획정보과 2013-12-19 2009
923 감귤 판매 유통 체계 일원화 추진 기획정보과 2013-12-12 2154
922 감귤바이러스 4종을 한번에 진단한다 기획정보과 2013-12-10 1864
921 당도높고 12월 수확하는 만감류 '신에감' 개발 기획정보과 2013-12-04 2155
920 노지감귤 가격 상승 호조세 기획정보과 2013-12-03 2549
919 비파괴 선별기로 감귤 세계화 기획정보과 2013-12-03 1885
918 감귤류도 정가 ·수의매매 추진 기획정보과 2013-12-02 1964
917 '서귀포세계감귤박람회' 10일간 여정 마침표 기획정보과 2013-12-02 1972
916 제주감귤 호주 수출 시동 기획정보과 2013-11-26 1901
915 서귀포 박현농가, 우수감귤경연대회 최우수상 '영예' 기획정보과 2013-11-22 2171
914 업무보조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3-11-22 2289
913 제주시농협, 몽골에 올 감귤 60t 수출 기획정보과 2013-11-22 2159
912 '새콤달콤' 세계 속 명품 제주감귤 진수 맛본다 기획정보과 2013-11-22 2089
911 '2013 서귀포세계감귤박람회' 내일 팡파르 기획정보과 2013-11-21 2020
910 올헤 제주 노지감귤 최종 예상생산량 53만5000톤 기획정보과 2013-11-21 2383
909 FTA범도민특위 전체회의, 감귤등 양허제외 품목 포함해야 기획정보과 2013-11-20 1785
908 감귤수출도 양보다 질이다 기획정보과 2013-11-20 2140
907 서귀포세계감귤박람회, 세계 속의 명품 감귤 기획정보과 2013-11-19 1784
906 감귤 수출국 다변화 물량 확보 '맴맴' 기획정보과 2013-11-19 2485
905 영양 덩어리 감귤, 속껍질까지 드세요 기획정보과 2013-11-18 250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