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개방화 파고 해법은 생산 조정.고품질화 노력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3-03 09:24:14      ·조회수 : 2,133     

개방화 파고 해법은 생산 조정.고품질화 노력

<기획시리즈-농업.농촌의 과제와 전망>1. 제주 감귤산업의 현재와 미래

우리 농업·농촌은 대내·외적 여건에 따라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빈번한 기상 이변과 구제역 확산, 거대경제권과의 자유무역협정(FTA)체결, 국제곡물과 원유 가격 상승 등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지는 제주지역 농업·농촌의 직면한 과제와 전망에 대해 4회에 걸쳐 진단해 본다. [편집자주]



1. 제주 감귤산업의 현재와 미래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은 현재 세계적인 개방화의 파고를 넘어야 할 과제를 떠안고 있다.



한·미 FTA 이행 시 오는 2021년까지 오렌지 수입량은 지난해 11만t 보다 76% 많은 19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여기에 세계적인 감귤 생산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과의 FTA 체결이 현재 추진 중인 만큼 적절한 대응방안 수립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감귤의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오세익)이 발표한 ‘농업전망 2011’에 따르면 2009년 세계 감귤류(만다린, 텐저린, 클레멘타인, 온주밀감 등 포함)의 재배면적은 216만㏊, 생산량은 3059만t으로 2004년 보다 각각 16%, 31% 증가했다.



2009년 세계 오렌지 생산량은 2004년 보다 4% 증가했으며 특히 중국이 2000년 이후 매년 생산량이 늘고 있다.



신선 감귤의 수입관세율은 144%이고, 오렌지 50%, 오렌지주스 54% 등이며 감귤류는 식물방역법상 미국(하와이·텍사스·플로리다주 제외), 일본(큐슈, 류큐열도 제외), 뉴질랜드에 대해서만 수입이 허용되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감귤류와 오렌지 수입은 식물방역법상 금지돼 있으나 향후 한·중 FTA 협상에서 중국의 수입금지 해제 및 신속한 검역단계 진행 요청이 예상되므로 적절한 대응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한·미 FTA에서 오렌지는 출하기(9월~다음해 2월)에 현행 관세 유지, 비수기(3~8월)는 30%에서 7년간 균등 철폐된다.



한·미 FTA 이행시 2021년 오렌지 수입량은 19만t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감귤 산업의 과제와 전망=제주특별자치도와 농협제주지역본부(본부장 김상오) 등에 따르면 감귤 전체 재배면적은 2005년 2만6800㏊에서 2010년 2만1100㏊로 1.7% 감소했다.



이는 노지감귤의 비가림하우스 재배로의 전환과 만감류 재배 확대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제주도와 농협은 분석했다.



그런데 1인당 연간 감귤 소비량은 2000년대 들어 15~16㎏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거리 현상이 발생하면 감귤 가격은 크게 등락하면서 해마다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과거 10년간 노지온주 생산량과 조수입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감귤가격과 조수입은 생산량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감귤 생산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해서는 전정, 간벌, 열매솎기 등 지속적인 생산 조정과 함께 수출 증대 등을 통한 소비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한·미 FTA 체결 시행시 영향을 조사한 결과 현재 1인당 15~16㎏인 연간 감귤 소비량이 오는 2021년에는 13.5㎏으로 감소할 전망이어서 생산량 감축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여기에 FTA 체결시 외국산 감귤류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출하시기 조정과 함께 감귤의 고품질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농협제주지역본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제주의 감귤산업이 세계적인 개방화의 파고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농가 스스로 생산량 조정과 함께 감귤의 고품질화, 출하 시기 조절 등의 자구 노력에 앞장서야 하고, 여기에 행정과 생산자 단체가 판로 확대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93 2013 서귀포세계감귤박람회로 초대합니다 기획정보과 2013-11-11 1896
892 감귤꽃 향기 맡으며 마라톤 질주한다. 기획정보과 2013-11-08 1552
891 서귀포시, 감귤원산지 위반 합동 단속 기획정보과 2013-11-08 1642
890 남원농협 곱들락감귤 공선출하회, 우수조직상 기획정보과 2013-11-08 2026
889 롯데마트, 감귤˛홍시 최대 40% 할인 판매 기획정보과 2013-11-08 1572
888 올해산 제주감귤 생산예상량 3차 조사 시작 기획정보과 2013-11-08 1632
887 제주정보화마을 8~10일 대전 특산물 직거래 장터 기획정보과 2013-11-07 1896
886 제주감귤 살길은 친환경·고급화 기획정보과 2013-11-07 1553
885 올해산 노지감귤 미국 수출길 오른다 기획정보과 2013-11-07 1596
884 [농민신문]석류,포도등 수입과일, 물량 늘었지만 시세 지난해 밑돌아 기획정보과 2013-11-06 1948
883 감귤의 향연, 2013 서귀포세계감귤박람회 초대합니다. 기획정보과 2013-11-06 1587
882 제주도, 내년 감귤경쟁력 강화위해 845억 투입 기획정보과 2013-11-05 1728
881 가락시장, 제주감귤 팰릿출하 추진 '주목' 기획정보과 2013-11-05 1634
880 서귀포시,감귤선과장에 안내판부착 기획정보과 2013-11-05 1524
879 올해산 노지감귤 첫 수출길 올라 기획정보과 2013-10-31 1667
878 [감귤출하연합회]노지감귤 가격동향, 실시간으로 기획정보과 2013-10-31 1971
877 올해산 노지감귤 첫 수출 기획정보과 2013-10-30 1675
876 제주감귤 따 가세요... 기획정보과 2013-10-30 1656
875 제주 감귤 브랜드 난립...효과 '미흡' 기획정보과 2013-10-28 1675
874 "중국감귤 생산량·맛 잠재력 풍부 감귤 FTA 양허제외 품목 넣어야" 기획정보과 2013-10-28 174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