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4-03 12:55:26      ·조회수 : 2,617     

감귤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이 실시된지 10년째를 맞고 있지만 가입 실적은 1%대로 극히 저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실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 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과 보험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보험으로, 2001년 사과와 배를 시작으로 2002년 감귤과 포도 등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시행 11년만에 35개 품목으로 확대된데다 지난해까지 9만3800여 농가에서 보험금 5202억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올리며 농업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사과와 감귤 등 품목별 보험 가입률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양적 확대보다는 내실화를 도모하는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내 대표 작목인 감귤인 경우 지난해 보험 대상 면적 1만7734ha 가운데 1.22%에 불과한 216ha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 부문에서 가입률이 가장 낮았으며 무려 86.8%의 가입률을 보인 사과와 큰 대조를 이뤘다.

농경연도 “보험 실시 10년째인 감귤인 경우 가입률이 1.22%에 불과하는 등 전체 25개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의 가입률이 10% 미만으로 농가 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감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이 저조한 것은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으로, 도내 농업계에서는 지역적 기후 및 품목별 특성 등을 반영해 보상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실효성 있는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농경연도 이에대해 “감귤 등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검토하는 등 내실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농경연은 특히 “품목별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기상 여건 특성을 반영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해 앞으로 제도 보완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의 농경연 02-3299-4348.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72 [알림] 2013년산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승인요령 기획정보과 2013-10-24 1611
871 감귤,올해 폭염 탓에...가격 폭등할 듯↑ 기획정보과 2013-10-24 1737
870 세계감귤박람회 8개국 전시관 참가 기획정보과 2013-10-24 1636
869 [기고]노지감귤 타이벡 재배가 쉬워졌어요. 기획정보과 2013-10-21 1721
868 감귤 '이끼제거게'개발...시설하우스 이끼 80%이상 제거 기획정보과 2013-10-21 1942
867 감귤 성목 옮겨 심었더니 당도 "쑥" 기획정보과 2013-10-18 1815
866 올해산 노지감귤 도매가 호조세 기획정보과 2013-10-18 1934
865 "감귤 강제착색, 고질병인가 불치병인가" 기획정보과 2013-10-11 1484
864 가공용감귤 수매단가 동결....Kg당 160원 기획정보과 2013-10-11 1732
863 2013년산 노지감귤 유통에 즈음하여 기획정보과 2013-10-07 1669
862 제주·서귀포시, 올해 감귤유통 지도단속반 발대식 개최 기획정보과 2013-10-02 1838
861 하우스감귤도 강제착색...올들어 첫 적발 기획정보과 2013-10-02 2051
860 감귤 1번과 종전대로 비상품으로 결정'출하금지' 기획정보과 2013-10-02 1492
859 비상품감귤 유통 처벌 대폭 강화해야 기획정보과 2013-10-02 1727
858 덜익은 미숙감귤 강제착색 행위 적발 기획정보과 2013-09-30 1548
857 우지사, "감귤미숙과 후숙사례 단속 철저" 지시 기획정보과 2013-09-30 1520
856 올해산 제주시 노지감귤 86%상품화 기획정보과 2013-09-30 1478
855 제주 서귀포시, 올해 감귤 품질검사원 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3-09-24 1583
854 제주도의회특위, 한중FTA감귤 등 양허제외 촉구 기획정보과 2013-09-24 1584
853 감귤출하연합회 업무보조원 채용공고 기획정보과 2013-09-13 175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