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2-08 10:04:27      ·조회수 : 4,739     

감귤에 피해를 입히는 새로운 해충들이 발견됐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실시한 ‘감귤에 발생하는 해충종류 및 분포조사’에 따르면 머리귀뚜라미 등 모두 10종의 해충이 새롭게 확인됐다. 이는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이 2000년에 보고한 감귤 해충종류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다. 당시 감귤시험장이 보고한 해충은 총 74종.

 도농기원은 작은뾰족민달팽이와 귤노랑깍지벌레·줄고운가지나방 등 새로운 해충들이 감귤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 해충은 과거에는 조사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밀도가 낮았으나 근래 들어 눈에 띄기 시작했다는 것. 도농기원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친환경 재배가 늘면서 해충이 서서히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는 일부 포장에서만 발견됐으며 아직까지 피해가 미미해 방제 필요성은 없다는 설명이다.

 과거보다 피해를 증가시키는 해충도 나타났다. 귤녹응애와 화살깍지벌레·선녀벌레·볼록총채벌레·애넓적밑빠진벌레·차잎말이나방 등 13종의 해충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볼록총채벌레와 애넓적밑빠진벌레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온난화로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월동이 원활해지고, 이로 인해 번식력이 왕성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볼록총채벌레는 근래 들어 해마다 확산되며 피해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다.

 반면 피해가 감소하는 해충도 조사됐다. 귤응애와 뒷흰날개밤나방·꽃노랑총채벌레 등 3종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가온 하우스에서 주로 발견되는 꽃노랑총채벌레는 최근 고유가 추세에 따른 농가들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다. 농가들이 가온을 포기하면서 재배면적이 줄자 꽃노랑총채벌레 발생도 줄고 있다는 해석이다. 또 외래해충인 뒷흰날개밤나방은 유입 초기 2~3년 동안 피해가 심했지만 그후 천적 등이 생기면서 자연적으로 밀도가 감소한 경우다.

 송정흡 도농기원 연구사는 “새로운 해충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계획”이라며 “방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연구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 농민신문 제주 강영식 기자 >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52 2013년 9대도매시장 "추석" 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3-09-10 1608
851 서귀포시, 미숙감귤 강제착색 집중단속 기획정보과 2013-09-09 1585
850 노지감귤 1번과 향방 어디로?? 기획정보과 2013-09-04 1995
849 하우스감귤 고가거래...추석대목 기대 기획정보과 2013-09-02 1892
848 올해산 노지감귤 53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3-09-02 1828
847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산량 53만톤 내외..품질역대최고전망 기획정보과 2013-08-30 1826
846 올해 제주감귤 맛 '최고'...당도 2.7브릭스 높아 기획정보과 2013-08-30 1856
845 농작물 가뭄피해, "9월 5일까지 반드시 신고하세요" 기획정보과 2013-08-28 1769
844 제주도농기원, 감귤재배 신기술 교육 '성황' 기획정보과 2013-08-28 1703
843 2달 간 바짝 마른 제주, 당근·감귤 피해 기획정보과 2013-08-28 1998
842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호조'파란불' 기획정보과 2013-08-27 1586
841 감귤박람회 참여업체 모집 기획정보과 2013-08-21 1839
840 제주감귤 명품화에 7,000억 투입 기획정보과 2013-08-19 1991
839 바짝 마른 감귤…제주 90년만의 최악 가뭄 기획정보과 2013-08-19 1884
838 올해산 감귤 품질관리원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3-08-19 1974
837 대통령공약 제주감귤 명품사업 무얼 담았나 기획정보과 2013-08-14 1700
836 세계감귤박람회 창설...11월 서막 올린다 기획정보과 2013-07-23 1853
835 제주지역 농산물 공동 출하 붐 확산 기획정보과 2013-07-19 1596
834 기대가 큰 제주감귤 세계 명품화 사업 기획정보과 2013-07-16 1481
833 감귤 궤양병 확산 ‘비상’ 기획정보과 2013-07-11 189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