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2-14 09:34:33      ·조회수 : 1,906     

배추 1만 5000원↑··· 이상기후·다단계 유통구조 주요인

[천지일보=장윤정 기자] 올해 소비자 물가는 채소·과일 값 폭등이 주도했다. 특히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가격이 급등해 주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이같이 채소와 과일 값이 상승한 주요인은 이상기후와 다단계 유통구조 문제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는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로 배추(1포기) 값이 9월 중순 사상 최대치인 1만 5000원까지 오르며 김장철을 앞둔 서민들의 가슴을 졸이게 했다.

지난 12일 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관측 자료에 따르면 배추(1포기) 도매가격이 지난 7월 5800원에서 8월 4410원으로 소폭 내려갔다가 9월 1만 5000원까지 폭등했다.

배추 값 급등은 올봄 저온현상에 따른 냉해피해로 지난 2월부터 이어져왔다. 배추(1포기) 가격은 2월 7500원, 3월 7530원, 4월 1만 840원, 5월 6770원 등 지난해에 비해 20~55% 상승했다.

배추 외에 무·파·양파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무 도매가격은 전국을 강타한 태풍의 영향으로 지난 9월 1만 9980원, 10월 2만 5670원으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280% 이상 가격이 급등했다. 대파(1kg)와 양파는 각각 전년 대비 10~50%, 15~60% 가량 상승세를 보였다.

이같이 채소 값이 폭등한 이유는 이상기후와 다단계 유통구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0월 한국은행 강원본부가 발표한 ‘최근 강원지역 고랭지채소 작황 및 향후 전망’에 따르면 채소 값 폭등현상은 기상이변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밭떼기 형식의 다단계 유통구조에 있다.

한국은행 강원본부 측은 농민들이 인력 절감과 경작 편의 등의 효과가 있는 다단계 거래를 선호하며 생산자 단체를 통해 판매되는 물량은 28%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과일 값은 1~7월 재배면적과 출하량이 증가해 지난해에 비해 5~10% 정도 하락했지만 8월부터 고온현상과 태풍의 영향으로 가격 상승세를 이어갔다. 배(15kg) 도매가격은 8월 2만 7000월, 9월 4만 7000원으로 지난해보다 30~70% 올랐다. 사과(15kg) 가격도 8월 2만 5000원, 9월 4만 5000원 각각 53%, 40% 상승했다.

겨울 대표 과일인 감귤 값도 상승했다. 지난 10월 제주도 감귤출하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감귤(10kg) 평균 도매가격은 1만 6700원으로 지난해(1만 300원)의 1.5배를 웃돌았다. 지난달도 1만 5000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3% 정도 가격이 상승했다.

감귤 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해거리 현상과 개화기 저온현상으로 착화량(나무에 꽃이 피는 양)이 지난해보다 5% 감소했고 잦은 강우로 착과량(과일나무에 열매가 열리는 양)도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해거리현상은 한 해에 열매가 많이 열리면 다음해에는 거의 열리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조용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감귤담당 연구원은 “이상기후와 해거리 현상이 감귤 가격 형성에 주된 요인인 것 같다”며 “다음 해에는 가격이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이 같은 과일 값의 상승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사과와 배는 출하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평년에 비해 10~15%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시설재배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어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채소 값은 예년보다 10~15%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박영구 농촌경제연구원 채소 연구원은 “다음 해에는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김장철이 지나가면서 수요는 줄고 물량이 늘어나 가격이 올해보다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93 올해 감귤산업에 1,035억 투자 기획정보과 2013-01-11 1631
792 설 맞춘 감귤 홍수출하 막기 '비상' 기획정보과 2013-01-07 2135
791 "FTA 대응 위한 감귤산업 체질개선 필요" 기획정보과 2013-01-07 1646
790 (서귀포시)2013년 농업정책 이렇게 달라진다 기획정보과 2013-01-04 1721
789 감귤출하 저조...막판 쏟아지나 기획정보과 2012-12-27 2200
788 감귤세계박람회 '황금열매' 키워드 기본윤곽 기획정보과 2012-12-27 1795
787 2013년 9대도매시장별 신정 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2-12-27 1895
786 하락세 노지감귤 가격 상승반전 기획정보과 2012-12-14 2330
785 "고급화로 제주감귤 지켜야" 기획정보과 2012-12-14 2176
784 친환경농산물 가공제품 개발주력 기획정보과 2012-12-14 1519
783 미국 수출 올해산 제주감귤 '합격점' 기획정보과 2012-12-07 1831
782 올해산 노지감귤 맛 '확 달라졌다' 기획정보과 2012-12-07 1736
781 내년 타이벡사업 정부지원재개 기획정보과 2012-12-04 1901
780 제주감귤 수출물량 확대 여부 관심 기획정보과 2012-12-04 1687
779 노지감귤 1번과 상품화 용역서 판가름 기획정보과 2012-11-28 1890
778 올해 노지감귤1번과 너무 많다 기획정보과 2012-11-28 1904
777 도 감귤 수출목표 달성 총력 기획정보과 2012-11-28 1529
776 고품질감귤 '천상천하'잘나간다 기획정보과 2012-11-28 1851
775 쪼꼴락 한입 감귤 기획정보과 2012-11-23 2341
774 피부는 뽀얗게, 뼈는 튼실하게..겨울철 대표과일 기획정보과 2012-11-19 159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