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소비자 선호도 '사과'에 밀린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17 11:47:15      ·조회수 : 1,902     

농촌경제연구원 조사 결과...감귤 소비 작년과 비슷, 수요 확대 절실

2009년 11월 17일 (화) 김태형 기자 kimth@jejunews.com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권 소비자들의 신선과일 구입 선호도에 있어 감귤이 사과에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생산량은 크게 늘어났지만 소비량은 작년과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어 감귤 제값받기를 위해서는 소비 증가를 위한 수요처 확충 방안이 절실해지고 있다.

1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이달초 서울과 경기, 부산, 광주, 울산, 인천, 대구, 대전 등 8개 지역의 소비자 패널 560명을 대상으로 과일 소비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달 가장 많이 구입한 신선과일’로는 사과가 33.6%로 가장 많았다.

감귤은 18.1%로 2위를 차지했으나 전체 비중에 있어 사과의 절반 가까운 수준에 그쳤다. 이어 단감 13.1%, 포도 11%, 배 10.4% 등의 순이었다.

구입 횟수로는 사과, 감귤, 배 순으로 조사됐는데, 사과와 감귤인 경우 ‘월 2회’가 각각 35%, 32%로 가장 많았다.

작년 대비 과일 소비량 변화 조사에서는 사과가 ‘늘었다’ 37.7%, ‘비슷하다’ 49%, ‘줄었다’ 13.2% 등으로 전반적으로 늘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귤은 ‘비슷하다’ 49%, ‘늘었다’ 29%, ‘줄었다’ 22% 등으로 전반적으로 소비량이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감귤 소비를 줄인 이유로는 ‘대체과일이 많아서’가 38%에 달했으며 소비를 늘린 이유로는 ‘맛이 좋아서’가 38%로 조사됐다.

신선과일 구입시 가장 많이 고려한 사항으로는 ‘계절과일’ 34%, ‘가족이 좋아하는 과일’ 27%, ‘당도 등 품질이 좋아’ 19%, ‘가격이 저렴’ 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감귤이 계절과일인데다 올해산인 경우 당도 등 품질이 좋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앞으로 소비 증가를 기대할 수도 있으나 생산량(64만t 추정)이 작년보다 23% 많다는 점에서 낙관적으로 전망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로볼 때 올해산 감귤의 제값받기를 위해서는 맛이 좋은 이미지를 앞세워 소비자 구매를 확대할 수 있는 다각적인 소비시장 확충 대책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농협 제주지역본부는 올해산 감귤에 대한 TV홍보에 적극 나서는 등 소비 촉진방안을 적극 추진하는데 주력키로 했다. <김태형 기자>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13 미국 수입오렌지 “우려가 현실로” 기획정보과 2012-05-04 1864
712 감귤 ‘한라봉’ 품종 특성을 발현시키려면 기획정보과 2012-05-04 1862
711 제주시, FTA 기금지원 8개사업 249억 투입 기획정보과 2012-05-03 1843
710 2011년산 노지 감귤, 역대 최고 몸값 기록 기획정보과 2012-05-03 1765
709 제주도, 한·중FTA 대응 밭작물 초민감품목 지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2-05-03 1570
708 제주 농가 고당도 감귤 신품종 '남진해' 첫 출하 기획정보과 2012-05-02 1852
707 제주도농기원, 10일부터 노지감귤 관측조사 기획정보과 2012-05-02 1614
706 2012년산 하우스감귤 첫 출하…남원농협과 효돈농협 기획정보과 2012-04-30 1817
705 제주도, 영국 감귤 수출 농가 특별관리 기획정보과 2012-04-30 1689
704 서귀포시, 고당도 감귤 생산 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2-04-27 3021
703 제주감귤 해외 진출 탄력 기획정보과 2012-04-26 1895
702 내버리던 감귤 찌꺼기 ‘황금알’로 재탄생 기획정보과 2012-04-26 1974
701 FTA 파고 넘어 고품질 감귤로 출발 기획정보과 2012-04-26 1576
700 도내 수출업체 해외지사 지원받는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740
699 미국 오렌지 이어 농축액까지 제주감귤산업 위기 '설상가상' 기획정보과 2012-04-13 1683
698 美 오렌지 판매 부쩍-소비 이상 기류 기획정보과 2012-04-13 1963
697 FTA 대응, 농업인 교육에 거는 기대 크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682
696 제주감협-농진청, 브랜드감귤대학 운영 기획정보과 2012-04-13 2088
695 글로벌 유통기업 '빅바이어' 제주 온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690
694 제주선과장 비파괴 광센서로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87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