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농경연 11·12월 과일관측-감귤·단감 등 공급량 적어 높은값 예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2 10:09:12      ·조회수 : 1,921     

농경연 11·12월 과일관측-감귤·단감 등 공급량 적어 높은값 예상

노지감귤과 배·단감은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높을 전망이다. 사과는 상품과 비율이 낮지만 품위가 좋아 지난해보다 비쌀 것으로 보인다. 복숭아는 신규 재배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의 12월 과일관측을 정리한다.

◆감귤=노지감귤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23% 줄어든 50만3,000t으로 예상된다. 착과량이 감소하고 낙과가 늘었기 때문.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30% 감소해 도매가격은 상품 10㎏ 한상자당 1만5,000원 선. 12월 이후에도 강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달 오렌지 수입량은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난 1,000t 내외로 예상.

◆단감=올해 단감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8% 적은 18만t 수준으로 전망된다. 서리 피해를 입은 단감은 저장이 어려워 조기출하되기 때문에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많을 것으로 예상. 하지만 12월 이후에는 출하량이 감소할 듯. 이달 〈부유〉 도매가격은 상품 10㎏ 한상자에 1만5,000~1만7,000원 선 예상. 12월에는 가격이 다소 오를 전망.

◆사과=〈후지〉는 중소과 물량이 많고 색택과 당도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 상품과 비율은 지난해에 비해 2.6%포인트 감소할 전망이다.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3% 많지만 품위가 양호한데다 대체과일 출하량이 적어 가격은 높을 것으로 예상. 상품 15㎏ 한상자에 3만3,000~3만6,000원 선. 전체 생산량은 49만8,000t으로 지난해에 비해 1% 많을 듯.

◆배=지난해에 비해 당도도 낮고 과중도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과 비율도 지난해에 비해 10%포인트 낮다. 이에 따라 저장량도 지난해에 비해 12% 적을 것으로 예상.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16% 적은 2만5,000t 추정. 가격은 〈신고〉 상품 15㎏ 한상자에 3만~3만3,000원 선.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14% 적은 35만9,000t, 출하 가능량은 21% 적은 29만5,000t 예상.

◆포도=내년 시설포도 재배면적이 가온시설은 올해보다 2% 늘어나고 무가온시설은 비슷할 전망이다. 가온 시기별로 12월은 지난해와 비슷하고 1~2월은 지난해보다 2% 늘 것으로 추정. 11월 포도 수입은 지난해에 비해 30~50% 많은 700~800t으로 예상된다.

◆복숭아=성목면적이 증가했지만 단수가 감소해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7% 감소한 16만2,000t으로 추정. 경북 영덕의 신규 과원 조성사업과 전북 임실, 충북 옥천의 지역특성화사업으로 인해 신규 재배면적이 20~30㏊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13 미국 수입오렌지 “우려가 현실로” 기획정보과 2012-05-04 1853
712 감귤 ‘한라봉’ 품종 특성을 발현시키려면 기획정보과 2012-05-04 1850
711 제주시, FTA 기금지원 8개사업 249억 투입 기획정보과 2012-05-03 1829
710 2011년산 노지 감귤, 역대 최고 몸값 기록 기획정보과 2012-05-03 1758
709 제주도, 한·중FTA 대응 밭작물 초민감품목 지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2-05-03 1563
708 제주 농가 고당도 감귤 신품종 '남진해' 첫 출하 기획정보과 2012-05-02 1844
707 제주도농기원, 10일부터 노지감귤 관측조사 기획정보과 2012-05-02 1607
706 2012년산 하우스감귤 첫 출하…남원농협과 효돈농협 기획정보과 2012-04-30 1811
705 제주도, 영국 감귤 수출 농가 특별관리 기획정보과 2012-04-30 1687
704 서귀포시, 고당도 감귤 생산 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2-04-27 3013
703 제주감귤 해외 진출 탄력 기획정보과 2012-04-26 1884
702 내버리던 감귤 찌꺼기 ‘황금알’로 재탄생 기획정보과 2012-04-26 1963
701 FTA 파고 넘어 고품질 감귤로 출발 기획정보과 2012-04-26 1567
700 도내 수출업체 해외지사 지원받는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732
699 미국 오렌지 이어 농축액까지 제주감귤산업 위기 '설상가상' 기획정보과 2012-04-13 1670
698 美 오렌지 판매 부쩍-소비 이상 기류 기획정보과 2012-04-13 1951
697 FTA 대응, 농업인 교육에 거는 기대 크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675
696 제주감협-농진청, 브랜드감귤대학 운영 기획정보과 2012-04-13 2076
695 글로벌 유통기업 '빅바이어' 제주 온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679
694 제주선과장 비파괴 광센서로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86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