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소비자 선호도 '사과'에 밀린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17 11:47:15      ·조회수 : 2,277     

농촌경제연구원 조사 결과...감귤 소비 작년과 비슷, 수요 확대 절실

2009년 11월 17일 (화) 김태형 기자 kimth@jejunews.com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권 소비자들의 신선과일 구입 선호도에 있어 감귤이 사과에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생산량은 크게 늘어났지만 소비량은 작년과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어 감귤 제값받기를 위해서는 소비 증가를 위한 수요처 확충 방안이 절실해지고 있다.

1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이달초 서울과 경기, 부산, 광주, 울산, 인천, 대구, 대전 등 8개 지역의 소비자 패널 560명을 대상으로 과일 소비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달 가장 많이 구입한 신선과일’로는 사과가 33.6%로 가장 많았다.

감귤은 18.1%로 2위를 차지했으나 전체 비중에 있어 사과의 절반 가까운 수준에 그쳤다. 이어 단감 13.1%, 포도 11%, 배 10.4% 등의 순이었다.

구입 횟수로는 사과, 감귤, 배 순으로 조사됐는데, 사과와 감귤인 경우 ‘월 2회’가 각각 35%, 32%로 가장 많았다.

작년 대비 과일 소비량 변화 조사에서는 사과가 ‘늘었다’ 37.7%, ‘비슷하다’ 49%, ‘줄었다’ 13.2% 등으로 전반적으로 늘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귤은 ‘비슷하다’ 49%, ‘늘었다’ 29%, ‘줄었다’ 22% 등으로 전반적으로 소비량이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감귤 소비를 줄인 이유로는 ‘대체과일이 많아서’가 38%에 달했으며 소비를 늘린 이유로는 ‘맛이 좋아서’가 38%로 조사됐다.

신선과일 구입시 가장 많이 고려한 사항으로는 ‘계절과일’ 34%, ‘가족이 좋아하는 과일’ 27%, ‘당도 등 품질이 좋아’ 19%, ‘가격이 저렴’ 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감귤이 계절과일인데다 올해산인 경우 당도 등 품질이 좋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앞으로 소비 증가를 기대할 수도 있으나 생산량(64만t 추정)이 작년보다 23% 많다는 점에서 낙관적으로 전망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로볼 때 올해산 감귤의 제값받기를 위해서는 맛이 좋은 이미지를 앞세워 소비자 구매를 확대할 수 있는 다각적인 소비시장 확충 대책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농협 제주지역본부는 올해산 감귤에 대한 TV홍보에 적극 나서는 등 소비 촉진방안을 적극 추진하는데 주력키로 했다. <김태형 기자>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04 서귀포시, 고당도 감귤 생산 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2-04-27 3268
703 제주감귤 해외 진출 탄력 기획정보과 2012-04-26 2145
702 내버리던 감귤 찌꺼기 ‘황금알’로 재탄생 기획정보과 2012-04-26 2324
701 FTA 파고 넘어 고품질 감귤로 출발 기획정보과 2012-04-26 1782
700 도내 수출업체 해외지사 지원받는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957
699 미국 오렌지 이어 농축액까지 제주감귤산업 위기 '설상가상' 기획정보과 2012-04-13 1958
698 美 오렌지 판매 부쩍-소비 이상 기류 기획정보과 2012-04-13 2209
697 FTA 대응, 농업인 교육에 거는 기대 크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936
696 제주감협-농진청, 브랜드감귤대학 운영 기획정보과 2012-04-13 2459
695 글로벌 유통기업 '빅바이어' 제주 온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995
694 제주선과장 비파괴 광센서로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2-04-13 2170
693 한미FTA 발효후 오렌지값 하락(한라봉 등 제주감귤 생존 시험대) 기획정보과 2012-04-13 1724
692 "道 FTA 대응 방안 실효성 떨어진다" 기획정보과 2012-04-05 1925
691 감귤 당도 높이기 2단계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2-04-05 2180
690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기획정보과 2012-04-03 3223
689 사상 첫 감귤조수입 7000억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2-03-26 1752
688 정부에 감귤 농무관제 도입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26 1933
687 FTA 감귤산업보호 법제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2498
686 무관세 미국 오렌지 수입 노지감귤 시장 교란 기획정보과 2012-03-16 2986
685 제주경제 피해규모 최소화 기획정보과 2012-03-16 242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