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 감귤 지원 대책 ‘실패’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0-27 17:31:49      ·조회수 : 2,037     

강석호 의원 “감귤 산업 고품격화에 역점 기울여야”

[메디컬투데이 고희정 기자] 한미FTA 타결로 인한 직접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돼 온 제주도산 감귤의 생산량 감소 정책이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강석호 의원(한나라당)은 15일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한미 FTA 협상타결에 대한 농축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집중 질의했다.

강의원은 이 자리에서 폐원지원 대상인 노지 감귤 재배면적이 폐원지원금을 지급한 2005년에는 1만9086ha였으나 지난 2009년에는 1만8,279ha로 807ha 감축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생산량은 2005년 60만511톤에 비해 지난해 65만4794톤으로 5만4283톤, 농가수도 2만4673호에서 2만5024호로 351농가가 각각 늘었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폐원지원금을 받고도 일부 농가들이 감귤 나무를 옮겨 심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하며 “품질이 떨어지는 비상품 감귤 출하 행위에 대한 강도 높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됐다.

또 강 의원은 “이 같은 총체적 문제점에 따라 제주도가 감귤안정생산직불제, 열매솎기, 1/2 간벌 등 기존의 대책을 점검하고 FTA에 대비해 감귤산업의 고품질화에 역점을 기울일 것”을 주문했다.

한편 강 의원은 이밖에도 지난해 제주도 내 무우, 당근 등의 생산량이 21만6651톤으로 2008년 20만876톤에 비해 8.3% 늘었다며 과잉생산으로 인한 산지 폐기 등이 우려되는 만큼 대책을 세울 것을 지적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93 한미FTA 발효후 오렌지값 하락(한라봉 등 제주감귤 생존 시험대) 기획정보과 2012-04-13 1529
692 "道 FTA 대응 방안 실효성 떨어진다" 기획정보과 2012-04-05 1648
691 감귤 당도 높이기 2단계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2-04-05 1844
690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기획정보과 2012-04-03 2668
689 사상 첫 감귤조수입 7000억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2-03-26 1479
688 정부에 감귤 농무관제 도입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26 1718
687 FTA 감귤산업보호 법제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2152
686 무관세 미국 오렌지 수입 노지감귤 시장 교란 기획정보과 2012-03-16 2716
685 제주경제 피해규모 최소화 기획정보과 2012-03-16 2120
684 감귤 1만톤 수출 인프라 구축 관건 기획정보과 2012-03-09 2396
683 제주도 시장개방 대응 중앙절충 강화 기획정보과 2012-03-08 2119
682 고품질감귤 생산교육 농업인 관심 고조 기획정보과 2012-03-05 2741
681 제주 감귤식품 클러스터 육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05 2329
680 11월 출하 브랜드 감귤 수입 짭짤 기획정보과 2012-02-29 5179
679 2012년산 감귤 간벌사업 시동...500ha 면적서 시행 기획정보과 2012-02-27 2151
678 제주지역 피해 현실화되는 한·미FTA 기획정보과 2012-02-27 1854
677 한중FTA 발효되면 10년간 감귤 1조6천억 피해 기획정보과 2012-02-21 3876
676 제주감귤농협, 감귤당도 1°Bx 높이기 실천결의 이어져 기획정보과 2012-02-17 2361
675 제주 올해산 감귤 1만t 수출..전년보다 3.7배↑ 기획정보과 2012-02-16 1936
674 감귤 한.중FTA 관세 인하 대상서 제외되나 기획정보과 2012-02-16 189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