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식품업계도 한파 탓에 '휘청'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1-26 09:08:53      ·조회수 : 1,917     

식품업계도 한파 탓에 '휘청'
한파로 인한 흉작 탓에 원재료 구하기 비상..가격도 급등

국내 감귤주스는 대부분 제주산 가공용 감귤로 만든다. 제주산 감귤은 크기별로 0∼10번으로 번호를 매기는데 상품성이 뛰어난 2∼8번은 일반 과일로 판매하지만 지름 77mm 이상 9∼10번은 주스나 잼 등 가공용으로 쓴다. 이 번호대 감귤은 당도가 떨어지고 맛도 덜하기 때문이다. 제주산 감귤 중 가공용인 9∼10번 감귤은 30∼40%를 차지한다.

지난해 12월 말까지 수확한 이 가공용 감귤이 요즘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감귤주스나 감귤잼 등을 만드는 식품업체들마다 가공용 감귤을 더 많이 구하려고 애쓰지만 원하는 수량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A음료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3∼4월에 서리 피해가 유난히 컸고 짝수해는 감귤나무 수확량이 크게 감소하는 이른바 '해걸이' 해로 가공용 감귤도 많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가공용 감귤 가격은 지난해보다 25% 오른 1kg당 100원(제주도 지원금 20원은 농가에 별도 지원). 그러나 가공용 감귤 찾기란 쉽지 않다. 일부 식품업체는 아예 감귤 대신 제주도개발공사 등을 통해 감귤 농축즙 구입으로 방향을 틀었다.

가공용 감귤 부족은 올해도 계속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는 수확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유례 없는 한파가 걱정거리"라며 "3∼4월 서리 피해가 심해진다면 수확량을 장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최근 폭설과 한파로 전국의 김 양식장 피해가 크게 늘며 조미김 생산업체에도 비상이 걸렸다. 조미김의 원재료인 재래김 원초 확보가 힘들어졌기 때문. 올 들어 김 원초 가격은 지난달보다 10∼20% 오른 1속(100장)당 3400∼3500원에 거래되고 있지만 유례없는 흉년으로 물량 확보가 더 어려워졌다. 조미김 업체들은 대부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꾸준히 김 원초를 사들이지만 요즘은 엄두조차 내지 못한다.

B식품업체 관계자는 "김 원초 가격이 너무 오르고 물량 확보도 쉽지 않아 원초 구입을 사실상 중단한 상태"라며 "3월 이후 날씨가 풀리고 원초 가격이 안정되면 집중 구매할 것"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요즘 같은 한파가 2월중순에도 계속된다면 3월까지 기다리는 것보다 당장 구입하는 것이 이득이므로 현지 상황을 수시로 체크하고 있다"고 했다.

해외에서 혼합과즙을 수입해 원재료로 쓰는 식품업체도 이상 기후 탓에 힘들기는 마찬가지다. C식품업체 관계자는 "미국 시애틀에서 혼합과즙을 수입하는데 서부지역 한파로 올 들어 혼합과즙 가격이 두 자릿수로 올랐다"고 했다. 한파 영향으로 천연과일 수확량이 줄면서 혼합과즙도 동반 강세를 보인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례적 폭설과 한파로 올해 채소류와 과일류, 생선류 등이 모두 수급난을 겪을 수 있다"며 "가격 인상 규제에 원재료 확보난까지 식품업계를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93 한미FTA 발효후 오렌지값 하락(한라봉 등 제주감귤 생존 시험대) 기획정보과 2012-04-13 1526
692 "道 FTA 대응 방안 실효성 떨어진다" 기획정보과 2012-04-05 1641
691 감귤 당도 높이기 2단계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2-04-05 1836
690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기획정보과 2012-04-03 2658
689 사상 첫 감귤조수입 7000억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2-03-26 1476
688 정부에 감귤 농무관제 도입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26 1716
687 FTA 감귤산업보호 법제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2146
686 무관세 미국 오렌지 수입 노지감귤 시장 교란 기획정보과 2012-03-16 2712
685 제주경제 피해규모 최소화 기획정보과 2012-03-16 2114
684 감귤 1만톤 수출 인프라 구축 관건 기획정보과 2012-03-09 2387
683 제주도 시장개방 대응 중앙절충 강화 기획정보과 2012-03-08 2109
682 고품질감귤 생산교육 농업인 관심 고조 기획정보과 2012-03-05 2737
681 제주 감귤식품 클러스터 육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05 2319
680 11월 출하 브랜드 감귤 수입 짭짤 기획정보과 2012-02-29 5169
679 2012년산 감귤 간벌사업 시동...500ha 면적서 시행 기획정보과 2012-02-27 2149
678 제주지역 피해 현실화되는 한·미FTA 기획정보과 2012-02-27 1847
677 한중FTA 발효되면 10년간 감귤 1조6천억 피해 기획정보과 2012-02-21 3865
676 제주감귤농협, 감귤당도 1°Bx 높이기 실천결의 이어져 기획정보과 2012-02-17 2356
675 제주 올해산 감귤 1만t 수출..전년보다 3.7배↑ 기획정보과 2012-02-16 1927
674 감귤 한.중FTA 관세 인하 대상서 제외되나 기획정보과 2012-02-16 188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