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개방화 파고 해법은 생산 조정.고품질화 노력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3-03 09:24:14      ·조회수 : 2,105     

개방화 파고 해법은 생산 조정.고품질화 노력

<기획시리즈-농업.농촌의 과제와 전망>1. 제주 감귤산업의 현재와 미래

우리 농업·농촌은 대내·외적 여건에 따라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빈번한 기상 이변과 구제역 확산, 거대경제권과의 자유무역협정(FTA)체결, 국제곡물과 원유 가격 상승 등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지는 제주지역 농업·농촌의 직면한 과제와 전망에 대해 4회에 걸쳐 진단해 본다. [편집자주]



1. 제주 감귤산업의 현재와 미래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은 현재 세계적인 개방화의 파고를 넘어야 할 과제를 떠안고 있다.



한·미 FTA 이행 시 오는 2021년까지 오렌지 수입량은 지난해 11만t 보다 76% 많은 19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여기에 세계적인 감귤 생산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과의 FTA 체결이 현재 추진 중인 만큼 적절한 대응방안 수립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감귤의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오세익)이 발표한 ‘농업전망 2011’에 따르면 2009년 세계 감귤류(만다린, 텐저린, 클레멘타인, 온주밀감 등 포함)의 재배면적은 216만㏊, 생산량은 3059만t으로 2004년 보다 각각 16%, 31% 증가했다.



2009년 세계 오렌지 생산량은 2004년 보다 4% 증가했으며 특히 중국이 2000년 이후 매년 생산량이 늘고 있다.



신선 감귤의 수입관세율은 144%이고, 오렌지 50%, 오렌지주스 54% 등이며 감귤류는 식물방역법상 미국(하와이·텍사스·플로리다주 제외), 일본(큐슈, 류큐열도 제외), 뉴질랜드에 대해서만 수입이 허용되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감귤류와 오렌지 수입은 식물방역법상 금지돼 있으나 향후 한·중 FTA 협상에서 중국의 수입금지 해제 및 신속한 검역단계 진행 요청이 예상되므로 적절한 대응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한·미 FTA에서 오렌지는 출하기(9월~다음해 2월)에 현행 관세 유지, 비수기(3~8월)는 30%에서 7년간 균등 철폐된다.



한·미 FTA 이행시 2021년 오렌지 수입량은 19만t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감귤 산업의 과제와 전망=제주특별자치도와 농협제주지역본부(본부장 김상오) 등에 따르면 감귤 전체 재배면적은 2005년 2만6800㏊에서 2010년 2만1100㏊로 1.7% 감소했다.



이는 노지감귤의 비가림하우스 재배로의 전환과 만감류 재배 확대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제주도와 농협은 분석했다.



그런데 1인당 연간 감귤 소비량은 2000년대 들어 15~16㎏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거리 현상이 발생하면 감귤 가격은 크게 등락하면서 해마다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과거 10년간 노지온주 생산량과 조수입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감귤가격과 조수입은 생산량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감귤 생산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해서는 전정, 간벌, 열매솎기 등 지속적인 생산 조정과 함께 수출 증대 등을 통한 소비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한·미 FTA 체결 시행시 영향을 조사한 결과 현재 1인당 15~16㎏인 연간 감귤 소비량이 오는 2021년에는 13.5㎏으로 감소할 전망이어서 생산량 감축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여기에 FTA 체결시 외국산 감귤류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출하시기 조정과 함께 감귤의 고품질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농협제주지역본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제주의 감귤산업이 세계적인 개방화의 파고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농가 스스로 생산량 조정과 함께 감귤의 고품질화, 출하 시기 조절 등의 자구 노력에 앞장서야 하고, 여기에 행정과 생산자 단체가 판로 확대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92 "道 FTA 대응 방안 실효성 떨어진다" 기획정보과 2012-04-05 1635
691 감귤 당도 높이기 2단계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2-04-05 1833
690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기획정보과 2012-04-03 2655
689 사상 첫 감귤조수입 7000억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2-03-26 1474
688 정부에 감귤 농무관제 도입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26 1714
687 FTA 감귤산업보호 법제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2143
686 무관세 미국 오렌지 수입 노지감귤 시장 교란 기획정보과 2012-03-16 2709
685 제주경제 피해규모 최소화 기획정보과 2012-03-16 2111
684 감귤 1만톤 수출 인프라 구축 관건 기획정보과 2012-03-09 2386
683 제주도 시장개방 대응 중앙절충 강화 기획정보과 2012-03-08 2107
682 고품질감귤 생산교육 농업인 관심 고조 기획정보과 2012-03-05 2732
681 제주 감귤식품 클러스터 육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05 2310
680 11월 출하 브랜드 감귤 수입 짭짤 기획정보과 2012-02-29 5166
679 2012년산 감귤 간벌사업 시동...500ha 면적서 시행 기획정보과 2012-02-27 2145
678 제주지역 피해 현실화되는 한·미FTA 기획정보과 2012-02-27 1836
677 한중FTA 발효되면 10년간 감귤 1조6천억 피해 기획정보과 2012-02-21 3860
676 제주감귤농협, 감귤당도 1°Bx 높이기 실천결의 이어져 기획정보과 2012-02-17 2354
675 제주 올해산 감귤 1만t 수출..전년보다 3.7배↑ 기획정보과 2012-02-16 1922
674 감귤 한.중FTA 관세 인하 대상서 제외되나 기획정보과 2012-02-16 1876
673 수출 맞춤형 시스템 구축 감귤 1만t 수출 계획 기획정보과 2012-02-16 204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