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올해산 감귤 성패 농가의지에 달려있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0-17 08:50:36      ·조회수 : 1,519     

최근 2011년산 감귤이 본격적으로 출하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거래가격은 작년보다 높게 책정되는 등 순조로운 출발을 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산 감귤생산량이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철저한 생산량과 품질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비상품감귤 차단에 대한 자구노력이 절실하다.

△최근 극조생 감귤출하 순조
최근 일주일(7~13일)간 평균도매가격은 10㎏당 2만400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1만9800만원보다 600원 정도 높은 가격을 보이는 등 순조롭게 출발하고 있다.
특히 올해산 감귤 예상생산량은 58만5000t으로 지난해산 48만500t보다 21.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다행히 올해산 노지감귤인 최근 9월부터 일조량이 많은 등 기후여건이 좋아 당도가 높아지는 등 품질이 크게 향상되면서 출하초기 가격지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7~8월 육지지역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경쟁과일인 올해 사과생산량은 전년보다 7% 적었고, 배와 감귤은 전년보다 각각 1.4%와 1.0% 증가하는데 그쳤다. 더구나 수확기에 악기상 등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등 상품성이 떨어지면서 상대로 제주감귤의 상품성은 높아졌다.
제주도는 올해산 감귤생산량 58만5000t 가운데 80%인 47만t을 도외시장에 출하하고 19.6%인 11만5000t을 가공용으로 처리할 계획이다.

△비상품감귤 유통 차단해야
올해 제주감귤 산업이 좋은 결실을 맺으려면 고품질의 감귤을 소비자에게 공급해 신뢰를 높이는 동시에 출하량 조절과 비상품 감귤 유통차단이 절실한 상황이다.
하지만 올해 9월부터 지난 13일까지 감귤유통 위반으로 24건을 적발해 129t이 폐기됐다. 특히 올해산 노지감귤이 자율출하로 결정되면서 올해 강제착색 행위가 9건(70.7.t) 적발돼 지난해 전체 7건을 넘었다. 또 미숙과 7건(35.4t), 품질검사미이행 4건(13.8t), 비상품유통 4건(9.1t) 등이 적발됐다.
강제착색 등 저급품감륭이나 비상품감귤이 유통되면 소비자들에게 불신을 심어주고, 출하량 조절이 힘들어지는 등 제주감귤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릴 우려도 낳고 있다.
김정호 서귀포시자치경찰대 수사팀장은 "대대적으로 비상품감귤 유통에 대한 단속을 벌이고 있지만 대상과 지역이 광범위하고, 수법도 교묘해지고 있다"며 "단속도 중요하지만 농가와 유통업체들이 자발적으로 비상품감귤 유통 차단에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제민일보 김용헌 기자>

올해산 감귤 성패 농가의지에 달려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93 한미FTA 발효후 오렌지값 하락(한라봉 등 제주감귤 생존 시험대) 기획정보과 2012-04-13 1524
692 "道 FTA 대응 방안 실효성 떨어진다" 기획정보과 2012-04-05 1639
691 감귤 당도 높이기 2단계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2-04-05 1835
690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기획정보과 2012-04-03 2656
689 사상 첫 감귤조수입 7000억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2-03-26 1475
688 정부에 감귤 농무관제 도입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26 1716
687 FTA 감귤산업보호 법제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2143
686 무관세 미국 오렌지 수입 노지감귤 시장 교란 기획정보과 2012-03-16 2710
685 제주경제 피해규모 최소화 기획정보과 2012-03-16 2111
684 감귤 1만톤 수출 인프라 구축 관건 기획정보과 2012-03-09 2386
683 제주도 시장개방 대응 중앙절충 강화 기획정보과 2012-03-08 2109
682 고품질감귤 생산교육 농업인 관심 고조 기획정보과 2012-03-05 2734
681 제주 감귤식품 클러스터 육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05 2310
680 11월 출하 브랜드 감귤 수입 짭짤 기획정보과 2012-02-29 5168
679 2012년산 감귤 간벌사업 시동...500ha 면적서 시행 기획정보과 2012-02-27 2145
678 제주지역 피해 현실화되는 한·미FTA 기획정보과 2012-02-27 1842
677 한중FTA 발효되면 10년간 감귤 1조6천억 피해 기획정보과 2012-02-21 3862
676 제주감귤농협, 감귤당도 1°Bx 높이기 실천결의 이어져 기획정보과 2012-02-17 2355
675 제주 올해산 감귤 1만t 수출..전년보다 3.7배↑ 기획정보과 2012-02-16 1924
674 감귤 한.중FTA 관세 인하 대상서 제외되나 기획정보과 2012-02-16 188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