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 작성자 : 김용진      ·작성일 : 2019-09-19 13:04:30      ·조회수 : 3,467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2019년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전년보다 6만t 가량 늘어난 52만8000t 내외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해까지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했던 2L초과 대과가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사실상 상품 출하 기준이 불가 2년 만에 당도에서 규격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 셈이어서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다만 2S(49~53㎜) 미만 소과(46~48㎜)는 종전대로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하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도내 지역농협 조합장, 가공업체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전체회의 주요 안건은 ▲감귤 생산 예측량 증가에 따른 가공용 감귤 규격 결정 ▲수매단가가 결정이다.

지난 2017년 ‘제주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 규칙’ 개정으로 노지감귤은 당도 10브릭스 이상일 경우 크기기준을 적용받지 않고 상품으로 출하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2L(67~70㎜) 초과 규격과 극소과(45㎜ 이하)를 포함한 중결점과를 올해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올해 생산예상량을 감안하면 약 9만t 정도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조례 시행 규칙상 출하연합회가 가공용 규격 및 수매단가를 비롯해 유통 및 출하조절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을 정하고 있지만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도 예상된다. 생산량 증가에 예상에 따라 2년 만에 대과 출하를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농정당국은 생산예상량에 따라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일부 지역농협 조합장들은 조례를 개정해 앞으로는 대과 출하를 못하도록 명문화하자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 가공용 수매단가는 kg당 180원(가공업체 120원, 도 60원)으로 동결됐다. 2016년산까지는 160원(가공업체 110원, 도 50원)이었고, 2017년부터 20원 인상됐다.

한편 최근 5년간 노지감귤 생산량과 가공용 수매는 2014년 57만3400t(가공용 15만8291t), 2015년 51만9200t(8만4477t), 2016년 46만6800t(5만5925t), 2017년 44만200t(7만1929t), 2018년 46만7600t(6만2542t)이다.

출처 : 제주新보(http://www.jejunews.com)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04 서귀포시, 고당도 감귤 생산 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2-04-27 3282
703 제주감귤 해외 진출 탄력 기획정보과 2012-04-26 2157
702 내버리던 감귤 찌꺼기 ‘황금알’로 재탄생 기획정보과 2012-04-26 2339
701 FTA 파고 넘어 고품질 감귤로 출발 기획정보과 2012-04-26 1789
700 도내 수출업체 해외지사 지원받는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970
699 미국 오렌지 이어 농축액까지 제주감귤산업 위기 '설상가상' 기획정보과 2012-04-13 1973
698 美 오렌지 판매 부쩍-소비 이상 기류 기획정보과 2012-04-13 2220
697 FTA 대응, 농업인 교육에 거는 기대 크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950
696 제주감협-농진청, 브랜드감귤대학 운영 기획정보과 2012-04-13 2470
695 글로벌 유통기업 '빅바이어' 제주 온다 기획정보과 2012-04-13 2008
694 제주선과장 비파괴 광센서로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2-04-13 2184
693 한미FTA 발효후 오렌지값 하락(한라봉 등 제주감귤 생존 시험대) 기획정보과 2012-04-13 1735
692 "道 FTA 대응 방안 실효성 떨어진다" 기획정보과 2012-04-05 1939
691 감귤 당도 높이기 2단계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2-04-05 2192
690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기획정보과 2012-04-03 3240
689 사상 첫 감귤조수입 7000억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2-03-26 1763
688 정부에 감귤 농무관제 도입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26 1946
687 FTA 감귤산업보호 법제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2513
686 무관세 미국 오렌지 수입 노지감귤 시장 교란 기획정보과 2012-03-16 2999
685 제주경제 피해규모 최소화 기획정보과 2012-03-16 243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