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오렌지 등 수입 과일 '밀물' 공세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1-20 17:21:40      ·조회수 : 2,861     

제주감귤의 경쟁 과일인 오렌지와 포도 등의 외국산 과일류 수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에는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를 기점으로 저가 공세가 거세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감귤류 시장 영향력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18일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와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본부장 강석률) 등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 수입된 오렌지와 포도, 바나나, 파인애플, 참다래 등 과실류 검역 실적은 총 75만5554t으로, 전년도 67만1093t에 비해 13% 증가했다.

외국산 과실류 수입 증가는 기상 불량 등으로 국내 과실류 생산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국내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국내 유통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품목별 수입 실적을 보면 미국산이 전체의 95% 안팎을 차지하고 있는 오렌지가 14만2218t 수입되면서 전년(11만132t) 대비 27% 증가했다.

이는 역대 최고치인 지난 2004년 15만4444t 이후 가장 많은 물량으로, 3월(2만9266t)과 4월(3만9841t), 5월(1만4308t)에 전체의 60%에 가까운 물량이 집중 수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포도 수입량도 4만4622t으로 전년(3만5053t)에 비해 27% 증가했으며 파인애플도 7만3122t이 수입돼 전년(6만643t) 대비 21%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여기에 바나나(35만2681t)와 참다래(2만9754t), 메론(1986t)도 수입 물량이 늘어나는 등 과실류 모든 품목에서 수입 증가세를 보이면서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실제 농협경제연구소 조사 결과 수입산 과일의 시장 규모가 이미 3조원을 웃돌 정도로 급성장하면서 외국산 과일의 국내 시장 점유율도 지난 2008년 25.7%에서 2010년 35.2%로 대폭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7월 한.EU(유럽연합) FTA 발효에 이어 올해 한.미 FTA까지 발효되면 외국산 과일의 저가 공세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여 과일 소비 패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한.미 FTA 발효 이후 미국산 오렌지의 무관세 물량(2500t)과 함께 비수기 관세율도 현행 50%에서 30%로 인하될 경우 미국산 오렌지의 국내 판매가격이 현재보다 최대 절반 가까운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추정돼 시장 점유율을 늘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도내 농업계 및 농협 관계자들은 “싼 가격을 앞세워 밀려드는 오렌지 등의 외국산 과일 수입 증가에 대비해 품질 경쟁력을 높이면서 안전성에서 소비자의 신뢰를 쌓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문의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과 031-420-7689.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12 노지감귤 수출 확대 원년 돼야 기획정보과 2011-11-10 1846
611 농업기술원, 노지감귤 품질관리 당부 기획정보과 2011-11-09 1811
610 제주 감귤 8년만에 대미 수출 재개 기획정보과 2011-11-09 1795
609 "조생온주 수확 20일 전·후 적정" 기획정보과 2011-11-09 1475
608 기고]고품질 감귤출하, 말보다 실천입니다 기획정보과 2011-11-08 1467
607 감귤 미국 수출 기대감 기획정보과 2011-11-07 1902
606 노지감귤 값 하락...1만원대 고비 기획정보과 2011-11-07 1903
605 미국산 오렌지 물량 공세 '시작됐나' 기획정보과 2011-11-04 2262
604 고품질 감귤출하 의지 필요 기획정보과 2011-11-04 1594
603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전국 곳곳서 성행 기획정보과 2011-11-01 1730
602 제주농협, 감귤 미 수출 물량 확대 협의 기획정보과 2011-11-01 2118
601 도매시장 노지온주 최고가 현황(10kg기준,10.24~10.29) 기획정보과 2011-10-31 1524
600 도매시장 하우스온주 최고가 현황(10/24-10/29) 기획정보과 2011-10-31 1540
599 노지감귤 얼마나 달렸을까...제주도농업기술원, 최종 조사 기획정보과 2011-10-31 1607
598 제주도가 비상품 감귤 유통에 과태료 물리는 행위, '정당 기획정보과 2011-10-28 1878
597 택배 가장 비상품 감귤 유통 "언제면 근절되나" 기획정보과 2011-10-28 1756
596 헌법소원 제기됐던 '제주감귤', 무슨 일 있었나? 기획정보과 2011-10-27 2029
595 헌재 "비상품감귤 유통자 과태료 부과 합헌" 기획정보과 2011-10-26 1854
594 농업기술원 주최 감귤 신품종 세미나 열려 기획정보과 2011-10-25 1577
593 감귤 만감류 4개 품종중 3개 국내 출원 기획정보과 2011-10-25 394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