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한중FTA 발효되면 10년간 감귤 1조6천억 피해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2-21 09:54:48      ·조회수 : 4,436     

한중FTA 발효되면 10년간 감귤 1조6천억 피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표자료...감귤 '초토화' 우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발효될 경우 관련해, 감귤산업에서는 한미FTA와는 비교도 안되는 엄청난 피해가 있을 것이란 분석결과가 제시됐다.

농림수산식품부가 20일 제주 설문대여성문화센터에서 개최하려다 무산된 감귤분야의 한-중 FTA 협상 대응방향 간담회의 자료에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마련한 '감귤분야 협상 대응방향'가 배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는 제주농가들에게 한중FTA가 체결될 경우 예상되는 영향과 대응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준비된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에 따르면 2013년 한중 FTA를 발효할 경우 향후 10년간 생산액이 관세감축 시나리오에 따라 적게는 1조624억원, 많게는 1조5969억원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검역상 수입규제 해제시 한중FTA 발효할 경우 2023기준 감귤 생산 감소액은 1126억원에서 1644억원 정도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2023년 기준 예상생산액은 최근 3년의 평균 생산액 6662억원의 16.9-24.7% 수준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산 감귤이 국내 시장의 일정부분 대체할 경우 연관산업 전체적으로 약 2조683억원에서 3조1087억원 정도가 감소하는 경제적 파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같은 분석결과는 최근 제주발전연구원이 한미FTA가 발효될 경우 향후 15년간 제주 1차산업에서 감귤 9589억원을 비롯해 총 1조2150억원(연평균 810억원)의 생산감소 피해를 전망한 것과 비교하더라도 엄청난 것이다.

제주 1차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한중FTA는 한미FTA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의 막대한 피해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농촌연구원은 "기존의 다른 FTA들에서 감귤은 양허제외 품목으로 처리해 왔으나 한미FTA에서 15년 후 철폐라는 좋지 않은 선례를 갖고 있다"면서 "중국산 감귤의 가격경쟁력이 국내산보다 우월해 관세보다는 비관세 요인이 수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국내 감귤산업은 제주도의 지역경제와 매우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서 감귤산업 약화는 특정지역의 깆역경제 기반에 큰 타격이 우려된다"며 "따라서 협상 대응전략으로 가능한 한 민감품목으로 설정해 양허대상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협상대상국의 특성이 다른 만큼, 관세 협상조건에서 15년 후 관세철폐라는 한미FTA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하고, 관세화로 갈 경우 수입물량이 급증해 국내 가격이 급락할 경우를 대비한 농산물 긴급수입제한조치(safeguard, ASG)도 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검역협상에 대해서는 원칙적이고 엄격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무엇보다 한중FTA로 중국산 감귤 수입 급증으로 인한 감귤농가의 소득보전 대책 등에 대한 전략 수립 후 협상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러나 이 내용은 간담회에 참가한 제주농업인들이 "한중 FTA협상 자체를 반대하기 때문에, 그외 대응방향에 대한 다른 의견을 있을 수 없다. 이 의견을 중앙정부에 정확하게 전달해달라"고 요구하며 집단 퇴장하면서 발표되지 못했다.
< 헤드라인제주 윤철수 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24 비상품 감귤 유통 근절 총력전 기획정보과 2011-11-21 1860
623 감귤 국내 농약기준 미국 기준 된다 기획정보과 2011-11-18 2260
622 "제주시, 감귤유통 선진화사업 역행" 질타 기획정보과 2011-11-18 2160
621 제주감귤, 인도네시아·베트남 수출 기획정보과 2011-11-17 1869
620 제주시 비상품감귤 유통행위 강력차단 기획정보과 2011-11-17 2350
619 제주산 감귤 600t 영국 수출길 오른다 기획정보과 2011-11-15 1751
618 한라봉 중부내륙서 재배...제주 특산물 경계 허물어졌다 기획정보과 2011-11-15 2563
617 애매한 FTA 기금 지원 수출 배점 기준 기획정보과 2011-11-15 2813
616 내년부터 감귤도 품종보호대상 포함 기획정보과 2011-11-14 2156
615 올해산 노지감귤 최종 예상량은? 기획정보과 2011-11-11 2071
614 감귤 미국 수출 확대 걸림돌 해소되나 기획정보과 2011-11-11 2036
613 감귤가격 '반전' 1만2000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1-11-10 1953
612 노지감귤 수출 확대 원년 돼야 기획정보과 2011-11-10 2228
611 농업기술원, 노지감귤 품질관리 당부 기획정보과 2011-11-09 2285
610 제주 감귤 8년만에 대미 수출 재개 기획정보과 2011-11-09 2346
609 "조생온주 수확 20일 전·후 적정" 기획정보과 2011-11-09 1858
608 기고]고품질 감귤출하, 말보다 실천입니다 기획정보과 2011-11-08 1840
607 감귤 미국 수출 기대감 기획정보과 2011-11-07 2333
606 노지감귤 값 하락...1만원대 고비 기획정보과 2011-11-07 2289
605 미국산 오렌지 물량 공세 '시작됐나' 기획정보과 2011-11-04 265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