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2-14 09:34:33      ·조회수 : 1,867     

배추 1만 5000원↑··· 이상기후·다단계 유통구조 주요인

[천지일보=장윤정 기자] 올해 소비자 물가는 채소·과일 값 폭등이 주도했다. 특히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가격이 급등해 주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이같이 채소와 과일 값이 상승한 주요인은 이상기후와 다단계 유통구조 문제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는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로 배추(1포기) 값이 9월 중순 사상 최대치인 1만 5000원까지 오르며 김장철을 앞둔 서민들의 가슴을 졸이게 했다.

지난 12일 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관측 자료에 따르면 배추(1포기) 도매가격이 지난 7월 5800원에서 8월 4410원으로 소폭 내려갔다가 9월 1만 5000원까지 폭등했다.

배추 값 급등은 올봄 저온현상에 따른 냉해피해로 지난 2월부터 이어져왔다. 배추(1포기) 가격은 2월 7500원, 3월 7530원, 4월 1만 840원, 5월 6770원 등 지난해에 비해 20~55% 상승했다.

배추 외에 무·파·양파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무 도매가격은 전국을 강타한 태풍의 영향으로 지난 9월 1만 9980원, 10월 2만 5670원으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280% 이상 가격이 급등했다. 대파(1kg)와 양파는 각각 전년 대비 10~50%, 15~60% 가량 상승세를 보였다.

이같이 채소 값이 폭등한 이유는 이상기후와 다단계 유통구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0월 한국은행 강원본부가 발표한 ‘최근 강원지역 고랭지채소 작황 및 향후 전망’에 따르면 채소 값 폭등현상은 기상이변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밭떼기 형식의 다단계 유통구조에 있다.

한국은행 강원본부 측은 농민들이 인력 절감과 경작 편의 등의 효과가 있는 다단계 거래를 선호하며 생산자 단체를 통해 판매되는 물량은 28%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과일 값은 1~7월 재배면적과 출하량이 증가해 지난해에 비해 5~10% 정도 하락했지만 8월부터 고온현상과 태풍의 영향으로 가격 상승세를 이어갔다. 배(15kg) 도매가격은 8월 2만 7000월, 9월 4만 7000원으로 지난해보다 30~70% 올랐다. 사과(15kg) 가격도 8월 2만 5000원, 9월 4만 5000원 각각 53%, 40% 상승했다.

겨울 대표 과일인 감귤 값도 상승했다. 지난 10월 제주도 감귤출하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감귤(10kg) 평균 도매가격은 1만 6700원으로 지난해(1만 300원)의 1.5배를 웃돌았다. 지난달도 1만 5000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3% 정도 가격이 상승했다.

감귤 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해거리 현상과 개화기 저온현상으로 착화량(나무에 꽃이 피는 양)이 지난해보다 5% 감소했고 잦은 강우로 착과량(과일나무에 열매가 열리는 양)도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해거리현상은 한 해에 열매가 많이 열리면 다음해에는 거의 열리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조용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감귤담당 연구원은 “이상기후와 해거리 현상이 감귤 가격 형성에 주된 요인인 것 같다”며 “다음 해에는 가격이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이 같은 과일 값의 상승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사과와 배는 출하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평년에 비해 10~15%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시설재배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어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채소 값은 예년보다 10~15%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박영구 농촌경제연구원 채소 연구원은 “다음 해에는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김장철이 지나가면서 수요는 줄고 물량이 늘어나 가격이 올해보다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72 도매시장 하우스온주 최고현황(10/1-10/8) 기획정보과 2011-10-10 1426
571 극조생 감귤 출하시기 앞당길 수 있는 기술 개발 기획정보과 2011-10-07 1972
570 노지감귤 ‘일소증’ 확산…농가 속탄다 기획정보과 2011-10-07 2003
569 도매시장 하우스온주밀감 최고가 현황(9/15~9/30) 기획정보과 2011-10-07 2022
568 [제주] 올해산 가공용 감귤 단가 ㎏당 140원 결정 기획정보과 2011-10-06 2141
567 서귀포시,비상품감귤 단속반 운영 기획정보과 2011-10-03 2338
566 감귤출하신고제도 이래서 중요합니다 기획정보과 2011-09-28 2321
565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 좋다 기획정보과 2011-09-28 1896
564 서귀포시, 감귤 품질검사원 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1-09-27 2116
563 감귤 제값받기, 초장부터 망칠 셈인가 기획정보과 2011-09-27 1872
562 제주도 자치경찰단 강제착색 감귤 적발조치 기획정보과 2011-09-27 2181
561 "설익은 노지감귤 출하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1-09-27 1776
560 감귤 저가로 수출하면 물류비 지원 없다 기획정보과 2011-09-22 1664
559 노지감귤 자율출하, 완숙과 수확 관건 기획정보과 2011-09-22 1807
558 제주시, 다국적 기업 유니벡사와 제주감귤 독일수출 협의 기획정보과 2011-09-22 1918
557 제주감귤 필리핀 수입검역 완화 기획정보과 2011-09-22 1526
556 주요농산물 도매시장 가격동향(9/15) 기획정보과 2011-09-15 1746
555 도매시장 하우스온주밀감 최고가 현황(9/5~9/10) 기획정보과 2011-09-14 1969
554 ‘감귤 제값받기’ 출하량 조절이 관건 기획정보과 2011-09-14 1816
553 노지감귤 제값받기 '빨간불' 켜나 기획정보과 2011-09-08 198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