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4-03 12:55:26      ·조회수 : 3,189     

감귤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이 실시된지 10년째를 맞고 있지만 가입 실적은 1%대로 극히 저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실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 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과 보험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보험으로, 2001년 사과와 배를 시작으로 2002년 감귤과 포도 등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시행 11년만에 35개 품목으로 확대된데다 지난해까지 9만3800여 농가에서 보험금 5202억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올리며 농업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사과와 감귤 등 품목별 보험 가입률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양적 확대보다는 내실화를 도모하는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내 대표 작목인 감귤인 경우 지난해 보험 대상 면적 1만7734ha 가운데 1.22%에 불과한 216ha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 부문에서 가입률이 가장 낮았으며 무려 86.8%의 가입률을 보인 사과와 큰 대조를 이뤘다.

농경연도 “보험 실시 10년째인 감귤인 경우 가입률이 1.22%에 불과하는 등 전체 25개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의 가입률이 10% 미만으로 농가 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감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이 저조한 것은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으로, 도내 농업계에서는 지역적 기후 및 품목별 특성 등을 반영해 보상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실효성 있는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농경연도 이에대해 “감귤 등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검토하는 등 내실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농경연은 특히 “품목별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기상 여건 특성을 반영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해 앞으로 제도 보완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의 농경연 02-3299-4348.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64 서귀포시, 감귤 품질검사원 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1-09-27 2473
563 감귤 제값받기, 초장부터 망칠 셈인가 기획정보과 2011-09-27 2123
562 제주도 자치경찰단 강제착색 감귤 적발조치 기획정보과 2011-09-27 2656
561 "설익은 노지감귤 출하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1-09-27 2154
560 감귤 저가로 수출하면 물류비 지원 없다 기획정보과 2011-09-22 2235
559 노지감귤 자율출하, 완숙과 수확 관건 기획정보과 2011-09-22 2168
558 제주시, 다국적 기업 유니벡사와 제주감귤 독일수출 협의 기획정보과 2011-09-22 2375
557 제주감귤 필리핀 수입검역 완화 기획정보과 2011-09-22 1980
556 주요농산물 도매시장 가격동향(9/15) 기획정보과 2011-09-15 2095
555 도매시장 하우스온주밀감 최고가 현황(9/5~9/10) 기획정보과 2011-09-14 2388
554 ‘감귤 제값받기’ 출하량 조절이 관건 기획정보과 2011-09-14 2295
553 노지감귤 제값받기 '빨간불' 켜나 기획정보과 2011-09-08 2567
552 감귤 제값은 '불량과 따기'가 관건 기획정보과 2011-09-08 1955
551 [알림]감귤출하신고소 업무보조원 채용 공고 계획 기획정보과 2011-09-06 2244
550 추석연휴도매시장일정 기획정보과 2011-09-06 2104
549 도매시장 하우스온주밀감 최고가 현황(8/29~9/3) 기획정보과 2011-09-06 2081
548 주요농산물 도매시장 가격동향(9/1) 기획정보과 2011-09-01 2277
547 노지감귤 예상량 58만5000톤 "한시름 덜었다" 기획정보과 2011-08-30 2505
546 친환경노지감귤원 스프링클러 지원 기획정보과 2011-08-30 2025
545 농산물 수입 급증...제주산 위협 기획정보과 2011-08-29 200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