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 작성자 : 김용진      ·작성일 : 2019-09-19 13:04:30      ·조회수 : 3,446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2019년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전년보다 6만t 가량 늘어난 52만8000t 내외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해까지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했던 2L초과 대과가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사실상 상품 출하 기준이 불가 2년 만에 당도에서 규격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 셈이어서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다만 2S(49~53㎜) 미만 소과(46~48㎜)는 종전대로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하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도내 지역농협 조합장, 가공업체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전체회의 주요 안건은 ▲감귤 생산 예측량 증가에 따른 가공용 감귤 규격 결정 ▲수매단가가 결정이다.

지난 2017년 ‘제주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 규칙’ 개정으로 노지감귤은 당도 10브릭스 이상일 경우 크기기준을 적용받지 않고 상품으로 출하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2L(67~70㎜) 초과 규격과 극소과(45㎜ 이하)를 포함한 중결점과를 올해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올해 생산예상량을 감안하면 약 9만t 정도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조례 시행 규칙상 출하연합회가 가공용 규격 및 수매단가를 비롯해 유통 및 출하조절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을 정하고 있지만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도 예상된다. 생산량 증가에 예상에 따라 2년 만에 대과 출하를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농정당국은 생산예상량에 따라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일부 지역농협 조합장들은 조례를 개정해 앞으로는 대과 출하를 못하도록 명문화하자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 가공용 수매단가는 kg당 180원(가공업체 120원, 도 60원)으로 동결됐다. 2016년산까지는 160원(가공업체 110원, 도 50원)이었고, 2017년부터 20원 인상됐다.

한편 최근 5년간 노지감귤 생산량과 가공용 수매는 2014년 57만3400t(가공용 15만8291t), 2015년 51만9200t(8만4477t), 2016년 46만6800t(5만5925t), 2017년 44만200t(7만1929t), 2018년 46만7600t(6만2542t)이다.

출처 : 제주新보(http://www.jejunews.com)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84 제주도농기원 지난해 신품종 5건 개발 기획정보과 2011-04-29 2582
483 감귤원 농가형 파쇄기 지원 확대 기획정보과 2011-04-28 2973
482 제주감협 캐나다에 감귤 1천t 수출 합의 기획정보과 2011-04-27 2202
481 롯데百, 제주도 하우스 감귤 18t 방출 기획정보과 2011-04-27 2746
480 감귤 美 수출 활성화 손잡다 기획정보과 2011-04-25 2074
479 제주도 감귤하우스 비상발전기 지원 기획정보과 2011-04-25 2574
478 서귀포시, 부패감귤 실명제 도입 기획정보과 2011-04-22 2402
477 서부유럽 탐방…제주 감귤과 비교 기획정보과 2011-04-22 2628
476 노지감귤 평균가 '사상 최고' 기획정보과 2011-04-21 2431
475 기후변화와 감귤전정 기획정보과 2011-04-21 3341
474 제주감귤 미국시장 도전 기획정보과 2011-04-21 2190
473 제주 대표감귤 천혜향·한라봉 값 ‘고공행진’ 기획정보과 2011-04-19 2936
472 제주농협 감귤 계약재배 7만t 확대 추진 기획정보과 2011-04-15 2151
471 제주 감귤, 세계인의 브랜드로 키운다 기획정보과 2011-04-14 3684
470 “국제기준 수출 시스템 구축땐 지속적 시장 확대 가능성 충분” 기획정보과 2011-04-13 1997
469 제주농협 대미 감귤 시범수출 추진 기획정보과 2011-04-13 2190
468 감귤정유시설로 감귤 고부가가치 실현 기획정보과 2011-04-12 2303
467 감귤 신소재 '바이오겔' 본격 생산 추진 기획정보과 2011-04-12 2287
466 "제주 친환경농업, 감귤 위주에서 벗어나야" 기획정보과 2011-04-11 2022
465 "최고품질 감귤생산, 자신있습니다" 기획정보과 2011-04-11 209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