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기후변화와 감귤전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4-21 09:10:57      ·조회수 : 2,980     

지난 겨울은 유난히도 추었다. 그래서인지 곳곳에 동해로 인해 나뭇가지들이 누렇게 변한 감귤원이 보이곤 했다. 특히 어린 감귤나무라든가 나무높이를 낮추려고 수관 중심부에 있는 가지가 절단되어 수세가 약한 나무일수록 동해가 심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예년 같으면 2월부터 전정하는 모습이 이곳저곳에서 보였을 터인데 전정시기가 매우 늦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엇 때문에 전정시기가 늦어지고 있는지를 감귤농업인들에게 물어 본즉 동해로 수세가 약해진 것으로 판단되어 기온이 어느 정도 높아져 수세가 회복될 기미가 보이면 전정을 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렇다. 하우스에서는 고온 피해, 가스 피해 또는 연년 결실로 인해 수세가 약한 나무는 새로운 순이 발생되는 시기에 발아되는 부분 상단부에서 고사지를 전정한다. 노지재배에서도 마찬가지로 겨울철 혹독한 추위로 감귤나무는 수세가 매우 쇠약해져 있다.

어느 정도 원기를 회복한 후에 절단전정은 피하고, 밀생된 가지를 솎아주는 정도로 그치고 있는데 고사지라든가 서로 겹쳐있는 가지를 전정하는 게 추세인 것 같다. 작년과 올해가 달라지는 게 감귤전정 현장의 모습이다. 전정에 대한 감귤농업인들의 인식이 새로워지고 있어 참으로 다행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또 한 가지 다른 환경요인이 있다. 꽃샘추위다. 금년에도 3월 27일 서귀포 시내에 서리가 내렸다. 3월 하순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반드시 꽃샘추위가 온다. 4월 상순만 하더라도 중산간 지역에는 서리가 내렸다. 전정은 해안에서부터 시작되어 중산간 지역은 늦게 전정을 해야 된다는 게 중론이다.

3년 전부터 하우스 비가림재배 감귤이라든가 노지재배에서도 늦서리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수관상부에 서리피해가 심하다. 조기 전정을 한 감귤원에서는 수관상부를 절단한 만큼 늦서리 피해 부위는 아랫부분으로 내려와서 결실량이 적어진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 그만큼 늦서리 피해가 전정시기를 더욱 지연시키는 것 같다.

금년에 해거리현상으로 인해 착화량 부족이 예상되는 과원에서는 꽃의 양이 적고 많음을 관찰하면서 전정 정도를 달리하겠다는 감귤농업인들도 있다. 참으로 놀라운 발전이라고 하지 않을 수없다.

전정은 금년에도 적정 착화량을 확보하고, 내년에도 열매가 달릴 가지를 확보하는 기술이다. 또한 놀라운 게 있다 연필 두께정도의 예비지를 설정하지 않는 다는 사실이다.

이유인 즉, 도장지가 발생하거나 세력지가 발생하여 대과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내년에도 자른 부위에서 재차 절단을 해야 된다는 것이다.

세력지 발생을 억제하는 어떤 새로운 방법이 보급되고 있느냐에 대해서는 도장지 또는 세력지를 솎음전정을 하고, 손에 장갑을 끼우고 가지 상부에서 기부까지 훑어주면 연약한 봄순이 밀생하여 이상적인 결과지가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전정기술이 다양해지고 있다.

전정기술의 발전에 감귤농업인들도 놀라울 따름이라고 한다. 새로운 전정기술 도입으로 수형이 달라지고 있다고 한다.

간벌신청을 못한 일부감귤원에서는 영구수를 선정한 연후에 간벌예정수를 좌우측으로 축벌하면서 3년째에는 간벌을 하면 수량이 감소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영구수 수관용적이 확대되면 착과량이 많아지고, 품질도 향상되어 소득이 증대된다는 것을 늦게나마 파악한 것이다.

금년도 예상되는 과잉생산 문제에 대해서는 올바른 대책이 제시된다면 반드시 이에 응하겠다는 여성들의 반응을 보노라면 감귤영농현장이 변화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32 제주시,감귤산업경쟁력 강화에 136억 투자 기획정보과 2011-03-02 1758
431 "제주감귤 영국시장부터 개척" 기획정보과 2011-03-02 1593
430 제주농협, 감귤원 간벌 총력 전개 기획정보과 2011-02-28 1799
429 감귤,FTA 대응 경쟁력 향상 기술개발 사업품목에 추가돼 기획정보과 2011-02-25 1744
428 제주감귤 경쟁력 ‘점프’…3년간 국비 20억 투입! 기획정보과 2011-02-25 1721
427 ‘1+1’ 초특가 이벤트...한라봉 ‘따봉’ 기획정보과 2011-02-24 2445
426 "시장님 일 좀 해보셨네요"… 金시장, 감귤 간벌현장서 구슬땀 기획정보과 2011-02-23 1858
425 서귀포농기센터, '서귀포 감귤대학' 운영 기획정보과 2011-02-23 1605
424 제주농기센터, 당도높은 극조생 감귤 시범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1-02-23 1776
423 롯데칠성, “올해 음료시장 성장 이끈다” 기획정보과 2011-02-22 1958
422 감귤 만으로 1억원 넘게 번 농가는 몇명? 기획정보과 2011-02-21 1628
421 ‘감귤육종센터' 문열어…신품종 개발 가속 기획정보과 2011-02-18 1632
420 제주도, 광센서 감귤선과기 설치 지원 기획정보과 2011-02-18 2266
419 “웰빙 포장재 쓰면 감귤이 오래가요” 기획정보과 2011-02-17 2112
418 제주 감귤수출 분야 '리더' 키운다 기획정보과 2011-02-16 1789
417 서귀포시, 고품질감귤생산위한 시설 현대화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1-02-15 1949
416 감귤 간벌.휴식년제 사업비 전액 지원 기획정보과 2011-02-15 1812
415 감귤=제주특산’ 옛말 될라?…2030년 전북까지 북상 기획정보과 2011-02-15 2317
414 제주농협, 감귤 브랜드 '햇살바람' 사업설명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1-02-15 2250
413 제주감귤농협 골드-클린뱅크 인증서 수상 기획정보과 2011-02-15 179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