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4-03 12:55:26      ·조회수 : 2,603     

감귤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이 실시된지 10년째를 맞고 있지만 가입 실적은 1%대로 극히 저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실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 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과 보험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보험으로, 2001년 사과와 배를 시작으로 2002년 감귤과 포도 등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시행 11년만에 35개 품목으로 확대된데다 지난해까지 9만3800여 농가에서 보험금 5202억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올리며 농업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사과와 감귤 등 품목별 보험 가입률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양적 확대보다는 내실화를 도모하는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내 대표 작목인 감귤인 경우 지난해 보험 대상 면적 1만7734ha 가운데 1.22%에 불과한 216ha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 부문에서 가입률이 가장 낮았으며 무려 86.8%의 가입률을 보인 사과와 큰 대조를 이뤘다.

농경연도 “보험 실시 10년째인 감귤인 경우 가입률이 1.22%에 불과하는 등 전체 25개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의 가입률이 10% 미만으로 농가 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감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이 저조한 것은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으로, 도내 농업계에서는 지역적 기후 및 품목별 특성 등을 반영해 보상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실효성 있는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농경연도 이에대해 “감귤 등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검토하는 등 내실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농경연은 특히 “품목별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기상 여건 특성을 반영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해 앞으로 제도 보완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의 농경연 02-3299-4348.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72 제주감귤은 겨울철 과일?…No! 1년 내내 맛본다! 기획정보과 2011-01-10 1650
371 감귤박물관 세외수입 14.9%↑ 기획정보과 2011-01-10 1606
370 “4년키운 ‘천혜향’나무 부러지고 찢어지고…” 기획정보과 2011-01-07 2085
369 감귤에 빠진 외식산업 기획정보과 2011-01-07 1801
368 도내 농협 서해 5도에 위문감귤 전달 기획정보과 2011-01-06 1779
367 인터넷 특급 감귤, 알고보니 품질 나쁜 파치? ‘충격’ 기획정보과 2011-01-05 3809
366 노지감귤 5년새 최고가 ‘농가 웃음꽃’ 기획정보과 2011-01-05 2154
365 노지감귤 25만7000t 처리 기획정보과 2011-01-05 1614
364 제주농협, 수출전담팀 구성 등 내부 기구 개편 추진 기획정보과 2011-01-05 1898
363 사과·배 등 과일 당도표시 규격, 명확해 진다 기획정보과 2011-01-04 3205
362 세밑 한파에 농작물 관리·하우스 시설 피해 ‘비상’ 기획정보과 2011-01-03 1900
361 제주 서귀포 '새콤달콤 감귤' 주안7동 노크 기획정보과 2010-12-30 2281
360 감귤 출하량 작년보다 3분의 1 줄어 기획정보과 2010-12-29 2204
359 "감귤에 고드름 맺힌 거 보셨어요?" 기획정보과 2010-12-29 1721
358 노지감귤 적정 생산 지금부터 대비해야 기획정보과 2010-12-29 2055
357 신정연휴 경매일정 기획정보과 2010-12-28 1887
356 감귤 10년 구조조정 한계 … 가공식품 개발 한창 기획정보과 2010-12-27 3995
355 제주 감귤값 5년만에 최고치 기획정보과 2010-12-27 2033
354 농업 생산비를 줄이자 (22)·끝-자신만의 효율적 생산기술 개발 … 비용절감 실천 기획정보과 2010-12-22 2459
353 고가품부터 생계형 절도까지 극성 기획정보과 2010-12-22 279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