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농협, 감귤 미 수출 물량 확대 협의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1-01 15:45:14      ·조회수 : 2,479     

제주농협지역본부(본부장 김상오)와 제주감귤연합회(회장 강희철)는 10월31일 제주감귤의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미국 멜리샤스( Melissa's, 사장 지미 헤르난데즈)의 샘 로드리게즈 부사장 등을 초청, 1일까지 감귤수출 상담회를 갖고 수출 활성화를 논의했다.

제주농협 김상오 본부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한·미 식물검역협상에서 감귤 궤양병 문제가 타결됨에 따라 미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올해 초부터 미국 수출농가를 모집해 미국기준에 맞는 병해충 방제 지도를 했다"며 "지난 10월 국립 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농약 안전성검사 결과 적합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미 멜리샤스 샘 로드리게즈 부사장 등 관계자는 제주농협 방문 후에 미국수출 농가 과원, 선과장 등을 방문하는 등 미국 수출용 감귤의 생산과정을 둘러보면서 제주감귤에 대한 호감과 함께 높은 관심을 보였다.

제주농협과 미 멜리샤스는 미국 도착시 감귤 견본의 품질 상태를 확인 후 수입 물량을 확대하자는 데 합의, 10일 2C/T (40피트)가 첫 선적될 전망이다.

한편 제주감귤 미국 수출은 1995년 한·미 식물검역회의에서 '수출단지에서 감귤 궤양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한다'는 검역 약정에 의해 개시됐으나 2002년 12월 궤양병 무발생 조건을 유지할 수 없어 2003년부터 중단됐다.

감귤 미국 수출은 1999년 377t, 2000년 232t, 2001년 1348t, 2002년 1601t을 수출한데 이어 2003년부터 중단됐다.

제주산 감귤이 미국에 안정적으로 수출되기 위해 궤양병 무발생 조건 해소와 함께 미국의 잔류농약 제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제주농협은 이에 따라 지난해 7월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미국 내 만코제브 성분(다이센엠 농약) 잔류농약허용 기준이 설정될 수 있도록 추가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농협 이용민 감귤팀장은 "미국은 잔류농약허용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농약이 나와서는 안 된다는 불검출 원칙(Zero Tolerance System)을 시행하고 있어 미국내 다이센엠 잔류허용 기준이 설정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며 "이의 일환으로 강희철 감귤협의회장이 직접 미국으로 가서 이 문제를 건의, 잘 해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 멜리샤스는 1984년에 설립됨 최대의 농특산물 전문 도매업체로 세계 각지 1200여개 품목의 농산물을 수입, 미국 내 마트 및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국가에 공급하고 있다.

< 제주=뉴시스 김용덕 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84 [마감]2020년도 서귀포항감귤출하신고소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20-09-28 2664
1983 [알림]2020년 추석 휴장 안내 기획정보과 2020-09-15 2559
1982 [마감]2020년도 서귀포항감귤출하신고소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20-09-15 2278
1981 [마감]2020년도 도매시장 모니터요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20-09-08 2445
1980 [마감]2020년도 기간제 근로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20-09-01 2292
1979 극조생 품질관리 홍보 동영상 기획정보과 2020-08-24 2806
1978 [정보공개]2020년 6월 업무추진비 집행현황 기획정보과 2020-07-30 2177
1977 2020년 소규모 광센서 감귤선별기 보급사업 지원계획 재공고 기획정보과 2020-07-28 2646
1976 품목조직화(카라향선도농가협의회) 기획정보과 2020-07-17 2667
1975 [알림]2020년 하계 휴장일 안내 기획정보과 2020-07-16 2057
1974 호주산 오렌지 공습...제주 감귤 영향 미치나 기획정보과 2020-07-14 2266
1973 [문영인의한라시론]감귤소비확대에 나서야 기획정보과 2020-07-09 1996
1972 2019년산 제주감귤 수입'8506억원'...잦은비.소비부진에 '뚝↓' 기획정보과 2020-07-03 2326
1971 친환경 감귤 농가 "알락하늘소" 주의보 기획정보과 2020-07-02 2254
1970 서귀포시,갈등문제 감귤 교육 문화 의료문제 기획정보과 2020-07-02 2049
1969 서귀포시 감귤,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다 기획정보과 2020-06-29 2239
1968 감귤 사 먹자 기획정보과 2020-06-29 2270
1967 남원농업협동조합,서귀포시 감귤대학 개강식 기획정보과 2020-06-24 1968
1966 비상품감귤 유통 과태료 500만원→1000만원 상향 기획정보과 2020-06-18 2107
1965 임정은 도의원,'파쇄기 감귤농가 보급 적극 검토해야' 기획정보과 2020-06-18 194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