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4-03 12:55:26      ·조회수 : 3,248     

감귤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이 실시된지 10년째를 맞고 있지만 가입 실적은 1%대로 극히 저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실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 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과 보험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보험으로, 2001년 사과와 배를 시작으로 2002년 감귤과 포도 등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시행 11년만에 35개 품목으로 확대된데다 지난해까지 9만3800여 농가에서 보험금 5202억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올리며 농업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사과와 감귤 등 품목별 보험 가입률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양적 확대보다는 내실화를 도모하는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내 대표 작목인 감귤인 경우 지난해 보험 대상 면적 1만7734ha 가운데 1.22%에 불과한 216ha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 부문에서 가입률이 가장 낮았으며 무려 86.8%의 가입률을 보인 사과와 큰 대조를 이뤘다.

농경연도 “보험 실시 10년째인 감귤인 경우 가입률이 1.22%에 불과하는 등 전체 25개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의 가입률이 10% 미만으로 농가 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감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이 저조한 것은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으로, 도내 농업계에서는 지역적 기후 및 품목별 특성 등을 반영해 보상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실효성 있는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농경연도 이에대해 “감귤 등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검토하는 등 내실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농경연은 특히 “품목별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기상 여건 특성을 반영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해 앞으로 제도 보완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의 농경연 02-3299-4348.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84 [마감]2020년도 서귀포항감귤출하신고소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20-09-28 2671
1983 [알림]2020년 추석 휴장 안내 기획정보과 2020-09-15 2568
1982 [마감]2020년도 서귀포항감귤출하신고소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20-09-15 2284
1981 [마감]2020년도 도매시장 모니터요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20-09-08 2463
1980 [마감]2020년도 기간제 근로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20-09-01 2297
1979 극조생 품질관리 홍보 동영상 기획정보과 2020-08-24 2817
1978 [정보공개]2020년 6월 업무추진비 집행현황 기획정보과 2020-07-30 2191
1977 2020년 소규모 광센서 감귤선별기 보급사업 지원계획 재공고 기획정보과 2020-07-28 2652
1976 품목조직화(카라향선도농가협의회) 기획정보과 2020-07-17 2672
1975 [알림]2020년 하계 휴장일 안내 기획정보과 2020-07-16 2070
1974 호주산 오렌지 공습...제주 감귤 영향 미치나 기획정보과 2020-07-14 2277
1973 [문영인의한라시론]감귤소비확대에 나서야 기획정보과 2020-07-09 2006
1972 2019년산 제주감귤 수입'8506억원'...잦은비.소비부진에 '뚝↓' 기획정보과 2020-07-03 2336
1971 친환경 감귤 농가 "알락하늘소" 주의보 기획정보과 2020-07-02 2270
1970 서귀포시,갈등문제 감귤 교육 문화 의료문제 기획정보과 2020-07-02 2057
1969 서귀포시 감귤,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다 기획정보과 2020-06-29 2250
1968 감귤 사 먹자 기획정보과 2020-06-29 2280
1967 남원농업협동조합,서귀포시 감귤대학 개강식 기획정보과 2020-06-24 1983
1966 비상품감귤 유통 과태료 500만원→1000만원 상향 기획정보과 2020-06-18 2124
1965 임정은 도의원,'파쇄기 감귤농가 보급 적극 검토해야' 기획정보과 2020-06-18 195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