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농경연 11·12월 과일관측-감귤·단감 등 공급량 적어 높은값 예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2 10:09:12      ·조회수 : 1,868     

농경연 11·12월 과일관측-감귤·단감 등 공급량 적어 높은값 예상

노지감귤과 배·단감은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높을 전망이다. 사과는 상품과 비율이 낮지만 품위가 좋아 지난해보다 비쌀 것으로 보인다. 복숭아는 신규 재배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의 12월 과일관측을 정리한다.

◆감귤=노지감귤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23% 줄어든 50만3,000t으로 예상된다. 착과량이 감소하고 낙과가 늘었기 때문.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30% 감소해 도매가격은 상품 10㎏ 한상자당 1만5,000원 선. 12월 이후에도 강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달 오렌지 수입량은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난 1,000t 내외로 예상.

◆단감=올해 단감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8% 적은 18만t 수준으로 전망된다. 서리 피해를 입은 단감은 저장이 어려워 조기출하되기 때문에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많을 것으로 예상. 하지만 12월 이후에는 출하량이 감소할 듯. 이달 〈부유〉 도매가격은 상품 10㎏ 한상자에 1만5,000~1만7,000원 선 예상. 12월에는 가격이 다소 오를 전망.

◆사과=〈후지〉는 중소과 물량이 많고 색택과 당도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 상품과 비율은 지난해에 비해 2.6%포인트 감소할 전망이다.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3% 많지만 품위가 양호한데다 대체과일 출하량이 적어 가격은 높을 것으로 예상. 상품 15㎏ 한상자에 3만3,000~3만6,000원 선. 전체 생산량은 49만8,000t으로 지난해에 비해 1% 많을 듯.

◆배=지난해에 비해 당도도 낮고 과중도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과 비율도 지난해에 비해 10%포인트 낮다. 이에 따라 저장량도 지난해에 비해 12% 적을 것으로 예상.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16% 적은 2만5,000t 추정. 가격은 〈신고〉 상품 15㎏ 한상자에 3만~3만3,000원 선.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14% 적은 35만9,000t, 출하 가능량은 21% 적은 29만5,000t 예상.

◆포도=내년 시설포도 재배면적이 가온시설은 올해보다 2% 늘어나고 무가온시설은 비슷할 전망이다. 가온 시기별로 12월은 지난해와 비슷하고 1~2월은 지난해보다 2% 늘 것으로 추정. 11월 포도 수입은 지난해에 비해 30~50% 많은 700~800t으로 예상된다.

◆복숭아=성목면적이 증가했지만 단수가 감소해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7% 감소한 16만2,000t으로 추정. 경북 영덕의 신규 과원 조성사업과 전북 임실, 충북 옥천의 지역특성화사업으로 인해 신규 재배면적이 20~30㏊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52 제철 맞은 '제주도 감귤' 부담 없이 즐기자 기획정보과 2010-12-22 2464
351 21일 감귤사업추진 워크숍 기획정보과 2010-12-22 1767
350 [제주]수출감귤 통합브랜드 ‘Sunbreeze’ 개발 기획정보과 2010-12-20 1780
349 수출감귤 통합브랜드 개발 '내년 첫선' 기획정보과 2010-12-20 1773
348 농기원, 돌발해충 지역네트워크 구축 기획정보과 2010-12-20 1789
347 연말 우편집중국은 기획정보과 2010-12-18 1889
346 감귤값 좋자 도난사고 잦아 … 농가 주의 요망 기획정보과 2010-12-17 2147
345 제주에서 감귤꽃 이용 화장품 개발 추진 기획정보과 2010-12-17 1969
344 지금 제주도여행지에선 제주 감귤 따기가 한창 기획정보과 2010-12-16 1963
343 설대목 물량 몰릴수도 … 출하시점 신중히 기획정보과 2010-12-15 1859
342 감귤원 폐원지 마땅한 대체작목없어 방치 기획정보과 2010-12-15 1758
341 제주감귤, FTA 시장개방에 ‘고품질’로 맞선다! 기획정보과 2010-12-15 1662
340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기획정보과 2010-12-14 1848
339 올해산 노지감귤 설 홍수출하 우려 기획정보과 2010-12-14 1795
338 온난화가 가져올 제주 감귤의 변화 기획정보과 2010-12-09 2894
337 감귤 곰팡이병 억제제 개발 기획정보과 2010-12-09 1954
336 애월·조천 감귤APC, 공정율 30% 순항 기획정보과 2010-12-08 1926
335 150일 일하는 감귤엔 ‘펑펑’, 역시 정치작목! 기획정보과 2010-12-06 1812
334 감귤랜드 민자유치실적 전무 기획정보과 2010-12-06 1526
333 노지감귤 소득률, 경쟁과일 중 최고 기획정보과 2010-12-06 22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