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 고용률 전국 최고 `감귤농사 덕분`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3-25 09:44:50      ·조회수 : 1,965     

제주도 고용률 전국 최고 `감귤농사 덕분`
통계청 2010년 4분기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
제주도 서귀포시 고용률 70.7%..전국 市 최고

제주도 서귀포시가 전국 도시지역 중 고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실업률도 0.8%로 낮은 편에 속했다. 반면 고용률이 가장 낮은 곳은 강원도 춘천시, 실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 경산시로 집계됐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4분기 지역별고용조사`에 따르면 전국 도시지역의 고용률은 55.4%인데 비해 제주도 서귀포시는 70.7%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에선 제외됐다.

서귀포시 다음으로 제주시(64.7%), 전남 나주시(63.35), 경북 영천시(61.9%)의 고용률이 높았다. 반면 강원 춘천시(48.6%), 경북 문경시(48.7%), 강원 삼척시(49.9%)는 고용률이 낮았다.

통계청 송성헌 고용통계과장은 "제주도는 겨울철에 특산물인 감귤이 나오기 때문에 고용률이 타 지역보다 높다"며 "전남 나주시, 경북 영천시는 겨울철 농한기로 고용률이 떨어지는 게 일반적이지만 주변에 산업단지가 있어 고용률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도시지역의 실업률은 3.0%로 조사됐다. 경북 경산시의 실업률이 4.8%로 가장 높았으며 경기 시흥시(4.5%), 오산시(4.4%), 경북 문경시(4.4%), 경기 과천시(4.3%) 등도 평균보다 실업률이 높았다.

일반적으로 도시지역에 비해 군 지역이 취업자 중 여성과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고용률은 높고 실업률은 낮게 나타난다. 지난해 4분기에도 군 지역 고용률은 59.7%로 도시지역보다 4.3%포인트가 높고, 실업률은 1.8%로 1.2%포인트 낮게 조사됐다.

군 지역의 고용률은 농림어업 비중이 높은 전남 신안군(74.1%), 해남군(73.9%), 진도군(72.9%), 경북 성주군(71.9%)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기 연천군(44.3%), 강원 횡성군(44.6%) 등이 낮았다.

일하는 젊은층이 많은 도시지역은 임금근로자 비중이 71.4%로 높은 반면, 고령층이 많은 군 지역은 43.7%로 낮았다. 임금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 안양시(82.1%), 수원시(80.5%) 등이었으며 전북 순창군(23.3), 전남 함평균(23.8%)이 낮았다.

청년층 취업자 비중은 경기 오산시(21.4%)가 가장 높았으며 고령층 취업자 비중은 전남 고흥군(56.4%)이 높았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재학·취업준비` 비중이 높은 곳은 구미시(35.3%), 순천시(33.9%)였으며 `육아` 비중이 높은 곳은 오산시(18.1%)로 나타났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54 농업 생산비를 줄이자 (22)·끝-자신만의 효율적 생산기술 개발 … 비용절감 실천 기획정보과 2010-12-22 2481
353 고가품부터 생계형 절도까지 극성 기획정보과 2010-12-22 2825
352 제철 맞은 '제주도 감귤' 부담 없이 즐기자 기획정보과 2010-12-22 2507
351 21일 감귤사업추진 워크숍 기획정보과 2010-12-22 1820
350 [제주]수출감귤 통합브랜드 ‘Sunbreeze’ 개발 기획정보과 2010-12-20 1834
349 수출감귤 통합브랜드 개발 '내년 첫선' 기획정보과 2010-12-20 1814
348 농기원, 돌발해충 지역네트워크 구축 기획정보과 2010-12-20 1847
347 연말 우편집중국은 기획정보과 2010-12-18 1948
346 감귤값 좋자 도난사고 잦아 … 농가 주의 요망 기획정보과 2010-12-17 2206
345 제주에서 감귤꽃 이용 화장품 개발 추진 기획정보과 2010-12-17 2024
344 지금 제주도여행지에선 제주 감귤 따기가 한창 기획정보과 2010-12-16 2024
343 설대목 물량 몰릴수도 … 출하시점 신중히 기획정보과 2010-12-15 1888
342 감귤원 폐원지 마땅한 대체작목없어 방치 기획정보과 2010-12-15 1814
341 제주감귤, FTA 시장개방에 ‘고품질’로 맞선다! 기획정보과 2010-12-15 1696
340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기획정보과 2010-12-14 1897
339 올해산 노지감귤 설 홍수출하 우려 기획정보과 2010-12-14 1851
338 온난화가 가져올 제주 감귤의 변화 기획정보과 2010-12-09 2952
337 감귤 곰팡이병 억제제 개발 기획정보과 2010-12-09 1981
336 애월·조천 감귤APC, 공정율 30% 순항 기획정보과 2010-12-08 1982
335 150일 일하는 감귤엔 ‘펑펑’, 역시 정치작목! 기획정보과 2010-12-06 186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