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03 10:22:25      ·조회수 : 2,315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타지역 자가소비 재배서 완도군 올해 첫 노지감귤 시장에 출하
도 2일부터 향후 타 지역 재배면적·생산량·시장여파 분석 돌입


 제주특산물인 감귤산업이 최근 지구온난화 영향 등으로 재배지가 타지역으로 빠르게 확산, 제주독점에서 경쟁체제로 변화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 완도군에 따르면 2008년까지 제주를 제외한 타지역 감귤 재배면적은 48.8㏊이며, 하우스 한라봉이 46.7㏊, 노지온주감귤이 2.4㏊로 조사됐다. 감귤 생산량도 510t이며, 한라봉 460t, 노지온주 50t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에서 한라봉은 2000년부터 재배됐지만 제주지역보다 생산량도 작고, 재배비용이 높아 제주산보다 경쟁력이 떨어졌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 무가온 한라봉 재배가 가능해지는 등 재배여건이 좋아지고 있다.

 타 지역 노지온주감귤은 1980년초부터 재배됐지만 자가소비용에 머물렀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타 지역에서 감귤재배 여건을 갖추면서 점차 노지온주 감귤산업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완도군은 자가 소비용으로만 재배했던 소완도 노지감귤을 올해부터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완도군은 최근 완도지역의 겨울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날이 적어 감귤재배에 적합하다고 밝히고 있다. 또 소안감귤은 새콤하고 달콤한 특유의 맛을 갖고 있고, 25일 이상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더구나 완도군은 앞으로 감귤을 소득특화작물로 육성하기 위해 감귤 작목반을 구성을 운영하고 있으며, 무농약 인증 획득과 고품질 재배기술, 마케팅 등 소안 감귤의 브랜드화를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앞으로 노지온주감귤 재배지가 전라도 완도뿐만 아니라 전남 여수·고흥·진도, 경남 거창 등으로 북상하면서 타 지역 감귤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오는 2~6일 전라도와 경상도 등 타 지역 감귤 재배 및 유통실태 조사하고, 이후 재배면적 확대 예상 지역에 대한 별도조사에 나선다.

 도는 이번 조사에서 최근 변화된 감귤 재배지역과 면적, 노지감귤 묘목 구입선과 재배실태, 농가동향, 향후 전망 등을 분석한다. 김용현 기자 noltang@jemin.com


제민일보 2009년 11월 02일 김용현 기자 noltang@jemin.com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44 지금 제주도여행지에선 제주 감귤 따기가 한창 기획정보과 2010-12-16 2624
343 설대목 물량 몰릴수도 … 출하시점 신중히 기획정보과 2010-12-15 2123
342 감귤원 폐원지 마땅한 대체작목없어 방치 기획정보과 2010-12-15 2187
341 제주감귤, FTA 시장개방에 ‘고품질’로 맞선다! 기획정보과 2010-12-15 2025
340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기획정보과 2010-12-14 2194
339 올해산 노지감귤 설 홍수출하 우려 기획정보과 2010-12-14 2311
338 온난화가 가져올 제주 감귤의 변화 기획정보과 2010-12-09 3415
337 감귤 곰팡이병 억제제 개발 기획정보과 2010-12-09 2277
336 애월·조천 감귤APC, 공정율 30% 순항 기획정보과 2010-12-08 2434
335 150일 일하는 감귤엔 ‘펑펑’, 역시 정치작목! 기획정보과 2010-12-06 2169
334 감귤랜드 민자유치실적 전무 기획정보과 2010-12-06 1912
333 노지감귤 소득률, 경쟁과일 중 최고 기획정보과 2010-12-06 2636
332 제주 감귤재배농가 고령화 '가속' 기획정보과 2010-12-06 1823
331 “3천원짜리 친환경감귤 보셨어요?” 기획정보과 2010-12-06 47546
330 노지감귤·당근농가 실질소득 감소 기획정보과 2010-12-06 2217
329 제주도, 연평도 피난 주민에게 감귤 전달 ‘위로’ 기획정보과 2010-12-06 1935
328 농산물 절도 근절시켜야 한다 기획정보과 2010-11-30 2118
327 노지감귤 40t 몽골 수출 기획정보과 2010-11-29 2032
326 감귤 '수확가위' 손보면 부패율 42.5% 감소 기획정보과 2010-11-29 2225
325 제주 농산물 러시아 수출 행보 빠르게 이어져 기획정보과 2010-11-29 199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