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올해 기상 악화 속 감귤이 가장 빛났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2-27 12:27:26      ·조회수 : 2,456     

올해산 농작물은 특이 기상으로 인하여 봄철 맥주보리를 제외한 겨울작물과 가을철 감귤을 제외한 여름작물이 수난의 연속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고성준)은 올해는 대체적으로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고 강수량과 일조시간이 적어 농작물 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은 해로 평가하고 있다.

겨울작물인 겨울(봄)감자, 마늘과 양파의 생산량은 1~4월까지 온도는 낮았지만 해비치는 시간이 많아 병해충발생이 적어 보리를 제외하면 최근 5년 평균보다 10a당 수량은 많았던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 여름작물인 참깨, 콩은 이른 장마와 8월 안개, 가을가뭄의 영향으로 전․평년보다 3~48%정도 수량이 감소했다.

하지만 감귤은 여름철 해 비치는 시간부족에도 불구하고 8월 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 해 비치는 시간이 많았고, 가뭄으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져 당도향상 등 품질향상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이한 기상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많았다.

지난해 12월 29일부터 올 1월 1일까지 내린 눈은 서귀포, 성산, 고산지역 관측 이래 최고의 적설량을 기록했고 25㏊의 시설피해가 발생했다.

평년보다 9일 빨랐던 장마는 서부중산간의 밀, 봄감자가 수확을 못한 것을 비롯하여 총 584㏊의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또, 8월에는 고산지역 최대 9일간의 안개 날씨 이후 10월 13일 까지 가뭄으로 콩, 참깨 등 밭작물 수량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제5호(메아리), 10호(무이파) 태풍으로 5,298㏊의 시설과 콩, 당근 등의 농작물 피해와 9월 10일부터 2일간 연속 18시간 이상의 천둥번개로 44백만원의 전기시설피해(한전 추산), 대흘 지역 시간당 111.6㎜ 집중호우로 335㏊의 농경지 침수․유실피해가 발생하는 초유의 사건도 발생하였다.

최근 11월 높은 기온과 기상관측 이래 가장 많은 비가 내렸는데 특히 성산은 올해 월별 최고 강수량을 기록하여 동부지역의 월동 무가 웃자라 상품비율이 떨어지는 피해도 발생했다.

농업기술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재해예방 매뉴얼'을 새롭게 구축하는 등 최근 국지적인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현지지도를 확대 추진해 나아갈 계획이다. < 한국인터넷뉴스 김은옥 인턴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44 지금 제주도여행지에선 제주 감귤 따기가 한창 기획정보과 2010-12-16 2687
343 설대목 물량 몰릴수도 … 출하시점 신중히 기획정보과 2010-12-15 2174
342 감귤원 폐원지 마땅한 대체작목없어 방치 기획정보과 2010-12-15 2241
341 제주감귤, FTA 시장개방에 ‘고품질’로 맞선다! 기획정보과 2010-12-15 2079
340 2010 소비자물가 올린 주범 ‘채소·과일’ 기획정보과 2010-12-14 2248
339 올해산 노지감귤 설 홍수출하 우려 기획정보과 2010-12-14 2369
338 온난화가 가져올 제주 감귤의 변화 기획정보과 2010-12-09 3472
337 감귤 곰팡이병 억제제 개발 기획정보과 2010-12-09 2334
336 애월·조천 감귤APC, 공정율 30% 순항 기획정보과 2010-12-08 2496
335 150일 일하는 감귤엔 ‘펑펑’, 역시 정치작목! 기획정보과 2010-12-06 2223
334 감귤랜드 민자유치실적 전무 기획정보과 2010-12-06 1972
333 노지감귤 소득률, 경쟁과일 중 최고 기획정보과 2010-12-06 2692
332 제주 감귤재배농가 고령화 '가속' 기획정보과 2010-12-06 1880
331 “3천원짜리 친환경감귤 보셨어요?” 기획정보과 2010-12-06 47599
330 노지감귤·당근농가 실질소득 감소 기획정보과 2010-12-06 2270
329 제주도, 연평도 피난 주민에게 감귤 전달 ‘위로’ 기획정보과 2010-12-06 1987
328 농산물 절도 근절시켜야 한다 기획정보과 2010-11-30 2172
327 노지감귤 40t 몽골 수출 기획정보과 2010-11-29 2095
326 감귤 '수확가위' 손보면 부패율 42.5% 감소 기획정보과 2010-11-29 2287
325 제주 농산물 러시아 수출 행보 빠르게 이어져 기획정보과 2010-11-29 204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