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삼나무 꽃가루’ 아토피 유발 주의보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0 10:02:35      ·조회수 : 2,287     

제주지역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알레르기 비염 등 환경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려면 삼나무 꽃가루 등이 많이 발생할 때 ‘삼나무 꽃가루 경보’를 발령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부설 환경보건센터(센터장 홍성철)는 9일 제주지역 환경성 질환의 원인이 집먼지 진드기류, 삼나무 꽃가루 및 공기 중에 있는 알터나리아(Alternaria) 곰팡이 순으로 조사돼, 이들 물질이 제주지역 아토피 질환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2008년부터 제주지역 아토피 질환의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인 제주대 환경보건센터는 이날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제주대 환경보건센터는 이날 발표에서 지난 4월 초 인천, 울산 지역의 환경보건센터와 공동으로 지역별로 1974~2539명씩 조사한 결과 제주지역 초·중·고교생 가운데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학생은 27.8%로 나타났고, 인천은 30.9%, 울산은 23.2%였다고 밝혔다.

특히 제주지역의 알레르기 원인물질 가운데 삼나무 꽃가루는 감귤지배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알터나리아 곰팡이는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퍼져있는 양상을 보였다. 또 삼나무 꽃가루는 2월 말부터 4월 초까지 날리고, 3월 초께 최고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보건센터는 이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황사경보를 발령하는 것처럼 삼나무 꽃가루 등이 많이 발생하는 기간에는 제주기상청과 연계해 삼나무 꽃가루 경보를 발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제주대병원이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환경성 질환자 발생을 점검한 결과 알레르기비염 진료 건수가 9만1327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천식은 8만4784건,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8만4066건, 아토피 피부염은 3만4373건의 순으로 분석됐다. 환경보건센터는 삼나무 꽃가루 등 주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중심으로 시기별, 지역별 분포를 관찰할 계획이다.

홍성철 센터장은 “환경성 질환은 원인 규명이 어렵고 완치방법이 없는 만큼, 예방대책 및 치료방향을 설정하려면 최소 5~10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32 감귤류 공동브랜드 햇살바람 규모화 추진 기획정보과 2010-09-07 1727
231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0-09-07 1817
230 감귤브랜드 '햇살바람' 키운다 기획정보과 2010-09-07 1642
229 올해 노지감귤 50만4천톤 내외 생산 전망 기획정보과 2010-09-07 1587
228 올해산 노지감귤 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9-07 1488
227 감귤 만감류 품종갱신사업 확대 기획정보과 2010-09-07 1632
226 노지감귤 운송계약 입찰 기획정보과 2010-08-27 1682
225 하우스감귤 품질만족도 ‘최고’ 기획정보과 2010-08-27 1774
224 감귤박물관 운영 활성화 대책마련 기획정보과 2010-08-27 1541
223 서귀포시, 감귤 품질검사원 대상자 신고 접수 기획정보과 2010-08-27 1426
222 올해 제주감귤 1만톤 수출 첫 도전 기획정보과 2010-08-27 1647
221 2010 제주감귤국제마라톤 D - 100 기획정보과 2010-08-20 1478
220 수출 1조원 달성 농산물 수출 총력 기획정보과 2010-08-20 1594
219 감귤 신품종 '감평' 재배 유도 추진 기획정보과 2010-08-20 1841
218 감귤 재배실태 전산관리시스템 운영 기획정보과 2010-08-20 1905
217 농축산물 생산비를 줄여라 기획정보과 2010-08-20 1484
216 올해 노지감귤 생산량 49만3천t 그칠듯 기획정보과 2010-08-20 1643
215 "미생물로 친환경 감귤 만드세요" 기획정보과 2010-08-20 1600
214 지난해 감귤생산액 9065억원 기획정보과 2010-08-07 1763
213 道, 올해 감귤하우스에 19억 추가 지원 기획정보과 2010-08-07 150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