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농경연 11·12월 과일관측-감귤·단감 등 공급량 적어 높은값 예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2 10:09:12      ·조회수 : 1,870     

농경연 11·12월 과일관측-감귤·단감 등 공급량 적어 높은값 예상

노지감귤과 배·단감은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높을 전망이다. 사과는 상품과 비율이 낮지만 품위가 좋아 지난해보다 비쌀 것으로 보인다. 복숭아는 신규 재배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의 12월 과일관측을 정리한다.

◆감귤=노지감귤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23% 줄어든 50만3,000t으로 예상된다. 착과량이 감소하고 낙과가 늘었기 때문.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30% 감소해 도매가격은 상품 10㎏ 한상자당 1만5,000원 선. 12월 이후에도 강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달 오렌지 수입량은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난 1,000t 내외로 예상.

◆단감=올해 단감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8% 적은 18만t 수준으로 전망된다. 서리 피해를 입은 단감은 저장이 어려워 조기출하되기 때문에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많을 것으로 예상. 하지만 12월 이후에는 출하량이 감소할 듯. 이달 〈부유〉 도매가격은 상품 10㎏ 한상자에 1만5,000~1만7,000원 선 예상. 12월에는 가격이 다소 오를 전망.

◆사과=〈후지〉는 중소과 물량이 많고 색택과 당도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 상품과 비율은 지난해에 비해 2.6%포인트 감소할 전망이다.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3% 많지만 품위가 양호한데다 대체과일 출하량이 적어 가격은 높을 것으로 예상. 상품 15㎏ 한상자에 3만3,000~3만6,000원 선. 전체 생산량은 49만8,000t으로 지난해에 비해 1% 많을 듯.

◆배=지난해에 비해 당도도 낮고 과중도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과 비율도 지난해에 비해 10%포인트 낮다. 이에 따라 저장량도 지난해에 비해 12% 적을 것으로 예상. 11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16% 적은 2만5,000t 추정. 가격은 〈신고〉 상품 15㎏ 한상자에 3만~3만3,000원 선.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14% 적은 35만9,000t, 출하 가능량은 21% 적은 29만5,000t 예상.

◆포도=내년 시설포도 재배면적이 가온시설은 올해보다 2% 늘어나고 무가온시설은 비슷할 전망이다. 가온 시기별로 12월은 지난해와 비슷하고 1~2월은 지난해보다 2% 늘 것으로 추정. 11월 포도 수입은 지난해에 비해 30~50% 많은 700~800t으로 예상된다.

◆복숭아=성목면적이 증가했지만 단수가 감소해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7% 감소한 16만2,000t으로 추정. 경북 영덕의 신규 과원 조성사업과 전북 임실, 충북 옥천의 지역특성화사업으로 인해 신규 재배면적이 20~30㏊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32 감귤류 공동브랜드 햇살바람 규모화 추진 기획정보과 2010-09-07 1719
231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0-09-07 1809
230 감귤브랜드 '햇살바람' 키운다 기획정보과 2010-09-07 1634
229 올해 노지감귤 50만4천톤 내외 생산 전망 기획정보과 2010-09-07 1579
228 올해산 노지감귤 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9-07 1478
227 감귤 만감류 품종갱신사업 확대 기획정보과 2010-09-07 1622
226 노지감귤 운송계약 입찰 기획정보과 2010-08-27 1673
225 하우스감귤 품질만족도 ‘최고’ 기획정보과 2010-08-27 1760
224 감귤박물관 운영 활성화 대책마련 기획정보과 2010-08-27 1532
223 서귀포시, 감귤 품질검사원 대상자 신고 접수 기획정보과 2010-08-27 1417
222 올해 제주감귤 1만톤 수출 첫 도전 기획정보과 2010-08-27 1636
221 2010 제주감귤국제마라톤 D - 100 기획정보과 2010-08-20 1469
220 수출 1조원 달성 농산물 수출 총력 기획정보과 2010-08-20 1586
219 감귤 신품종 '감평' 재배 유도 추진 기획정보과 2010-08-20 1833
218 감귤 재배실태 전산관리시스템 운영 기획정보과 2010-08-20 1904
217 농축산물 생산비를 줄여라 기획정보과 2010-08-20 1476
216 올해 노지감귤 생산량 49만3천t 그칠듯 기획정보과 2010-08-20 1635
215 "미생물로 친환경 감귤 만드세요" 기획정보과 2010-08-20 1587
214 지난해 감귤생산액 9065억원 기획정보과 2010-08-07 1755
213 道, 올해 감귤하우스에 19억 추가 지원 기획정보과 2010-08-07 14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