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105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2 서귀포시 FTA기금 고품질 감귤 생산시설 현대화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0-08-07 1691
211 한중 FTA 제주감귤 대응전략 모색 기획정보과 2010-08-07 1860
210 감귤 수출확대 연구용역 추진 기획정보과 2010-08-07 1809
209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0-08-03 1797
208 감귤 1만톤 수출 닻 올렸다 기획정보과 2010-09-30 1611
207 고품질 감귤생산엔 성목이식 필수 기획정보과 2010-08-03 1942
206 "감귤 신품종 '감평' 새이름 지어주세요" 기획정보과 2010-08-03 1806
205 농협, 감귤 표준재배력(병해충 방제력) 책자 보급 기획정보과 2010-07-22 2081
204 농산물우수관리 인증 큰폭 증가 기획정보과 2010-07-22 1590
203 <농사정보> 주요 농작물 생육상황 및 관리요령 기획정보과 2010-07-22 1633
202 노지감귤 조수입 2년 연속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1574
201 감귤아이스크림 미국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10-07-15 1827
200 감귤아이스크림, 괌에 이어 미국 본토로 수출 기획정보과 2010-07-15 1541
199 2010제주국제감귤마라톤 11월21일 개최 기획정보과 2010-07-08 1505
198 지역 농협 농·축산물 수출 꾸준한 성장 기획정보과 2010-07-08 1435
197 올해산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1767
196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토양피복을 기획정보과 2010-07-08 1696
195 장마철 농작물 관리요령 기획정보과 2010-07-01 1740
194 FTA기금사업 전국 최우수 평가 기획정보과 2010-07-01 1425
193 임금에게 진상 감귤 과원 복원 기획정보과 2010-07-01 169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