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온주감귤 재배 100주년을 맞으며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1-28 09:24:13      ·조회수 : 2,257     

제주, 온주감귤 재배 100주년을 맞으며

양창희 서부농업기술센터 과수특작담당

올해는 제주도에 처음으로 온주(溫州)감귤이 들어와 재배를 시작한 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지난 1911년 들여온 온주감귤은 그동안 다양한 계층에서 고품질 생산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 왔다. 이 노력으로 재배기술은 상당히 높은 수준에 올라와 있는 반면 우리에게는 과잉생산이라는 또 다른 위기가 도사리고 있다.

최근 노지감귤가격 형성과 농가소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는 ‘적정 생산량’이다. 이는 최근 10년간 노지감귤의 생산량과 소득액이 ‘반비례’해왔음을 통해서 여실히 잘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올해 감귤 농업인들의 가장 큰 관심거리는 과잉 생산이 예상되는 감귤의 작황이다. 감귤재배 농가 측면에서는 많게 생산되면 소득이 낮은 반면, 인건비 등 비용은 많이 소요돼 농업인들의 소득 감소에 직결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다. 특히 감귤은 다른 과수에 비해 해거리가 심한 과수로서 이변이 없는 한 금년 생산량이 많을 것이고 경기 침체영향으로 소비가 감소 할 경우 제값 받기가 어려울 수 있어 감귤농업인들의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 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밀식원 1/2간벌, 정지전정, 열매솎기 등 기본에 충실하고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재배 실천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우선 밀식원 1/2간벌을 철저히 해자. 1970~1980년대 감귤나무를 처음 심을 때 차후 한 줄을 베어낸다는 조건 하에 심었기 때문에 간벌은 반드시 실천해야 하며 과잉생산이 예상되는 올해가 간벌을 할 최고의 적기이다.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감한 실천을 못하고 망설이다 수확기에 가서 발등에 불이 떨어질 때는 이미 조치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생명산업으로 자리잡은 감귤산업이 올해는 새로운 발전의 디딤돌로 서는 제주 온주감귤 100주년을 맞이했으면 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4 감귤 품종갱신·이랑 높이 다른 과원 조성 관심 기획정보과 2010-06-17 2060
183 감귤 미국수출 재개…물량 확보는 비상 기획정보과 2010-06-17 1872
182 올해산 감귤 품질 '적신호'...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0-06-17 2042
181 제주감귤 美 수출길 연내 열린다 기획정보과 2010-06-10 2072
180 서귀포시, 풍수해시 농업피해 대책마련 기획정보과 2010-06-10 1894
179 제주 청정 농산물 잘 팔린다 기획정보과 2010-06-10 1818
178 서귀포시, 감귤 정유 명품화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0-06-10 1947
177 올해 감귤자조금 사업 20억원 규모 투자 기획정보과 2010-06-04 2075
176 올해 노지감귤 50만톤 안팎 생산 기획정보과 2010-06-04 1996
175 감귤 대형 유통센터 잇따라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1947
174 제주감귤 필리핀 수출길 '활짝' 기획정보과 2010-06-04 1976
173 감귤와인 1950 한·일·중 정상회담 공식 건배주 선정 기획정보과 2010-06-04 1907
17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첫 해외수출 기획정보과 2010-06-04 2152
171 서귀포시, 농산물산지유통센터 건립 지원 기획정보과 2010-05-12 1915
170 감귤선과장 등록기한 3년 연장 기획정보과 2010-05-12 2004
169 올 노지감귤 열매수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5-12 2280
168 감귤로 만든 아이스크림 본격 시판 기획정보과 2010-05-12 2249
167 서홍동 명품감귤 사업 기획정보과 2010-05-12 2110
166 도내 하우스 감귤 수확 '개시' 기획정보과 2010-05-12 1806
165 프리미엄급 제주 감귤와인 출시 관심 기획정보과 2010-05-12 196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