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감귤산업의 특징과 문제점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29 12:04:45      ·조회수 : 3,448     

제목 없음 -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1. 감귤생산현황

  중국의 감귤생산과 재배면적은 50년간 약 20배가 성장하였으며, 현재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 감귤재배면적은 130만㏊에 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성목이 70%, 유목이 30%이다. 1999년 감귤생산량은 1,078만톤에 달하고 있으며, 단위당 평균 생산량은 7.8톤/㏊으로, 이는 세계 평균 수준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중국의 감귤생산은 현재 비교적 비교우위를 겸비하고 있는 지앙시(江西), 후난(湖南), 저지앙(浙江) 등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꽝똥(廣東) 등의 지역은 생산의 비교우위가 하락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감귤생산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표 1  1999년 중국 지역별 감귤생산현황

단위 : 만톤, %

 

푸지엔

(福建)

지앙시

(江西)

저지앙

(浙江)

후빼이

(湖北)

후난

(湖南)

꽝똥

(廣東)

꽝시

(廣西)

쓰촨

(四川)

기타

생산량

158.9

53.9

212.0

99.1

149.7

83.6

106.2

116.2

98.8

1,078.4

비율

14.7

5.0

19.7

9.2

13.9

7.8

9.8

10.8

9.2

100.0

자료 : 중국통계연감, 2000년.

 

표 2  중국 연도별 감귤생산현황

단위 : 만톤

 

1952

1970

1980

1985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생산량

20.7

24.2

71.3

180.8

485.5

822.5

845.7

1010.2

859.0

1078.4

 자료 : 중국통계연감, 각년호.

2. 감귤생산의 주요 특징

2.1. 우수한 품질의 감귤생산 점진적 증가

  중국 감귤의 품종구조를 보면, 껍질이 두꺼운 감귤의 생산량은 66%에서 55%로 하락하였으며, 우수품종인 티엔청(甛橙1 )은 20%에서 30%로, 유자는 약 10%가 상승하였다. 현재 중국 정부는 외관 및 육질이 뛰어난 치청(臍橙)과 유자의 생산을 장려하고 있으며, 씨앗이 없는 유자품종의 보급을 신속하게 확대하고 있다.

2.2. 감귤생산은 10월에서 다음해 1월에 집중

  중국의 감귤생산은 10월 하순에서 12월에 집중되어 있으며, 2월 이후에는 생산량이 비교적 적다. 따라서 중국의 감귤은 10월에서 그 다음해 3월까지 시장에 집중적으로 출하되고 있으며, 3월 이후에는 저장성이 강한 일부 극소량의 품종만이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2.3. 감귤의 수출비율은 생산량의 2%

  중국의 감귤수출은 지속적으로 약 10만톤 내외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수출량이 다소 증가하여 약 20만톤에 달하였다. 그러나 이는 중국 감귤 총 생산량의 2%에 지나지 않으며, 감귤 수출물량 가운데 껍질이 두꺼운 감귤이 약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감귤의 주요 수출지역은 캐나다, 러시아 등이다. 중국은 감귤의 수출이 증가함과 동시에 감귤의 수입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수입량이 비교적 많은 것은 치청(臍橙) 및 감귤즙이다. 주요 감귤 수입지역은 미국,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등이다.

2.4. 감귤은 주로 생과 중심으로 소비

  생산량의 95%의 감귤이 직접 소비되고 있으며, 감귤 가공산업의 낙후로 인하여 생산량의 단지 5%만이 가공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중국 시장의 감귤쥬스는 주로 브라질, 미국 등의 지역에서 농축과즙과 비농축과즙을 수입하여 중국에서 재 가공한 것이다.

3. 감귤생산의 문제점

3.1. 규모의 영세성

  현재 중국의 감귤생산은 개인이나 혹은 가정을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일부 대규모 생산지역 또한 소생산 단위로 분할하여 생산하고 있다. 감귤의 유통구조가 정착되지 않아 감귤 생산 농가는 상품 판매에 있어서 주동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합리적인 이윤이 유통부문에 의하여 착취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농민의 소득개선을 제약하고, 또한 감귤생산의 경쟁력을 하락시키고 있다.

3.2. 품질 및 품종구조가 불합리

  중국의 일부 감귤품종의 품질은 이미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지만, 외관상 수입감귤과 비교적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국의 감귤재배는 지역에 적절하지 못한 품종을 재배함으로써 동일한 품종의 지역간 질적인 격차가 비교적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밖에 껍질이 두꺼운 감귤의 생산량이 비교적 많고, 껍질이 얇은 우량 감귤 생산량이 적은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다.

3.3. 가공산업의 낙후

  중국의 감귤 가공업의 발전은 감귤생산과 동일한 보조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감귤 생산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99년 중국의 감귤 가공량은 약 70만톤에 달하였지만, 이는 총 생산량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밖에 가공산업의 규모가 적고, 상품이 비교적 단조로우며, 이부문의 선도기업이 없다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중국의 감귤 가공업은 80년대의 대발전과 90년대의 침체과정을 경험하였다. 80년대 중국은 약 20개의 감귤 과즙 및 농축과즙 생산라인을 들여와 감귤 과즙의 가공능력이 시간당 150톤에 달하였다. 이에 추가하여 중국에는 원래 수천개의 소규모 감귤 가공공장이 있었다. 이들이 연간 100일 동안 공장을 가동한다고 가정할 경우 중국의 연간 가공능력은 약 80만톤 이상에 달하며, 이는 80년대 중국 감귤생산량의 50%에 달한다. 그러나 품종, 원료, 성분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과즙가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경제적인 효율이 낮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감귤 가공량은 생산능력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감귤 즙의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생산능력의 10%를 초과하지 못하고 있다.

발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중국감귤산업.hwp 다운로드1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1 감귤원 불청객 달팽이 소탕작전 관리자 2006-09-27 4231
130 2006년 감귤 과실크기 조사 결과 (9월 11일) 관리자 2006-09-26 3121
129 [축정과]맛 귤한우 브랜드 캐릭터 상표 등록 관리자 2006-09-22 6342
128 주요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 “예보 13호” 관리자 2006-09-22 2516
127 [감귤정책과]한·미 FTA와 제주감귤협상전략 특별 세미나 및 감귤특별대책위원회 6차 회의 개최 관리자 2006-09-22 2272
126 제주감귤 및 자생식물 추출물 구축 관리자 2006-09-21 2252
125 [감귤정책과]3년 연속 감귤 제값받기에 힘찬 도전을 합시다. 관리자 2006-09-21 2046
124 [감귤정책과]『제주 생존권 보호차원 오렌지 등 감귤류 』 한-미 FTA 협상품목 제외 추진 상황 관리자 2006-09-21 1921
123 [감귤정책과]오렌지 등 감귤류 한·미 FTA협상품목 제외 건의 관리자 2006-09-21 1940
122 수출활성화를 위한 금감전문교육 관리자 2006-09-19 2344
121 [한미FTA 3차협상 결산] 농산물 세이프가드 논의 진전 관리자 2006-09-18 3746
120 제13호 태풍 산산 북상에 따른 농작물 관리요령 관리자 2006-09-15 2407
119 차세대 "변이가지"를 시급히 찾습니다. 관리자 2006-09-14 1962
118 [한미FTA] “4차협상, 국내 영향 작은 농산물부터 수정 검토” 관리자 2006-09-13 2131
117 [보도자료]한·미 FTA 제3차 공식 협상 결과 관리자 2006-09-13 1825
116 감귤 친환경 농업은 농약안전사용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관리자 2006-09-13 1927
115 감귤열매솎기로 좋은가격 만들기 실천합시다!!!!!!!!! 관리자 2006-09-13 1979
114 9월 농업정보 관리자 2006-09-12 3128
113 한․미 FTA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 5차 회의 관리자 2006-09-11 1946
112 [참고자료]감귤에 대한 유통명령제 시행[2003.10.24] 관리자 2006-09-07 200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