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9호)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7 18:56:10      ·조회수 : 5,356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9호) -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9호)

(정보기간 : 6. 20 ∼ 7. 11)

 

  이번 예보 기간은 본격적인 장마기로 집중호우 등 강수량이 많은 시기입니다. 올 장마기간 중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6월 하순에는 흐리고 비 오는 날이 많고, 7월 중순에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으며, 기온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보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기상상황에 유의하여 농작물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배수로 정비 등 재해예방에 힘써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장마철에는 고온다습한 조건으로 각종 병 발생이 많은 시기이므로 예방위주로 적용농약을 뿌려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금회 중점방제 대상 병해충 ◆

 

◎ 노지감귤 : 흑점병, 창가병, 자나방 등

◎ 시설감귤 : 응애류, 총채벌레 등

◎ 고 추 : 역병 등

◎ 수박, 참외 : 덩굴마름병, 탄저병 등

◎ 참 깨 : 역병 등

◎ 더 덕 : 점무늬병, 줄기 썩음병 등

 

※ 농작물 풍수해 대책 철저로 피해 최소화!

 

□ 사전대책

 ○ 침수 또는 습해방지를 위한 물뺄 도랑 설치 및 재정비

 ○ 태풍 등 강풍에 대비 농업 시설물 및 농작물 사전보완작업 실시

 ○ 고온다습에 취약한 병 예방을 위하여 적용약제 필수 살포

 ○ 잦은 기압골 통과시 비래되어 발생이 많은 멸강나방 예찰 강화

 

□ 사후대책

 ○ 침수 포장은 신속한 물빼기 작업 및 병해충 방제 약제 살포

 ○ 하우스는 강풍에 의한 정전시 환기대책 신속히 하여 고온피해 방지

 ○ 유실, 도복, 가지부러짐 등 피해포장 신속한 복구 작업 실천

 

☞ 당면 병해충 발생전망 및 방제대책 ☜

 

□ 흑점병, 창가병, 자나방

 

  어린 열매에 흑점병 발생이 많아지는 시기이고 봄순에 창가병이 이병된 경우는 열매에 추가 방제를 하여야 하는 시기입니다. 어린열매가 어느 정도 커지기 시작할 때 자나방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으므로 포장 관찰을 잘 하여 초기방제 하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방제약제

 

 ○ 흑점병 : 만코지, 썬업, 포리람, 프로피 500배, 비온엠, 젤존 1,000배 등

 ○ 창가병

   - 썬업, 포리람 500배, 델란(수화제, 액상수화제, 티) 1,000배, 보가드, 푸르겐, 확시란 2,000배,

     살림꾼 3,000배 등

 ※ 흑점, 창가 동시방제 : 썬업, 포리람, 프로피, 델란, 스트로비, 프린트, 카브리오 등

 ○ 자나방 : 팔콘, 만장일치, 송골매 1,000배, 아타브론, 메리트, 2,000배 등

 

 

 

□ 귤 응애, 총채벌레

 

  맑은 날이 계속되면서 귤 응애 밀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고, 한라봉 등에 차응애, 차먼지 응애 등이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피해가 있었던 포장은 방제하시기 바라며, 총채벌레 등도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예찰을 잘 하여 초기에 방제하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방제약제

 ○ 귤 응애 : 켈센(수) 1,000배, 지존, 지페트, 킹스타, 환호성 2,000배, 주움, 엔비도 4,000배 등

 ○ 총채벌레

   - 파밤탄, 매치, 야무진, 한주먹, 솔라이트, 렘페이지 1,000배, 모스피란, 부메랑, 올가미, 아타라 2,000배,

      섹큐어 3,000배 등

 

             

창가병

흑점병

 

             

자낭방

차응애피해(열매)

 

 

※ 발췌 : 북제주군 농업기술센터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1 감귤원 불청객 달팽이 소탕작전 관리자 2006-09-27 4229
130 2006년 감귤 과실크기 조사 결과 (9월 11일) 관리자 2006-09-26 3120
129 [축정과]맛 귤한우 브랜드 캐릭터 상표 등록 관리자 2006-09-22 6339
128 주요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 “예보 13호” 관리자 2006-09-22 2514
127 [감귤정책과]한·미 FTA와 제주감귤협상전략 특별 세미나 및 감귤특별대책위원회 6차 회의 개최 관리자 2006-09-22 2270
126 제주감귤 및 자생식물 추출물 구축 관리자 2006-09-21 2250
125 [감귤정책과]3년 연속 감귤 제값받기에 힘찬 도전을 합시다. 관리자 2006-09-21 2045
124 [감귤정책과]『제주 생존권 보호차원 오렌지 등 감귤류 』 한-미 FTA 협상품목 제외 추진 상황 관리자 2006-09-21 1919
123 [감귤정책과]오렌지 등 감귤류 한·미 FTA협상품목 제외 건의 관리자 2006-09-21 1939
122 수출활성화를 위한 금감전문교육 관리자 2006-09-19 2343
121 [한미FTA 3차협상 결산] 농산물 세이프가드 논의 진전 관리자 2006-09-18 3745
120 제13호 태풍 산산 북상에 따른 농작물 관리요령 관리자 2006-09-15 2405
119 차세대 "변이가지"를 시급히 찾습니다. 관리자 2006-09-14 1960
118 [한미FTA] “4차협상, 국내 영향 작은 농산물부터 수정 검토” 관리자 2006-09-13 2129
117 [보도자료]한·미 FTA 제3차 공식 협상 결과 관리자 2006-09-13 1823
116 감귤 친환경 농업은 농약안전사용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관리자 2006-09-13 1926
115 감귤열매솎기로 좋은가격 만들기 실천합시다!!!!!!!!! 관리자 2006-09-13 1978
114 9월 농업정보 관리자 2006-09-12 3126
113 한․미 FTA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 5차 회의 관리자 2006-09-11 1945
112 [참고자료]감귤에 대한 유통명령제 시행[2003.10.24] 관리자 2006-09-07 200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