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제주농산물 자율적 수급안정을 위한 지원 조례

· 작성자 : 총무기획부      ·작성일 : 2024-11-14 10:06:30      ·조회수 : 877     

제주농산물 자율적 수급안정을 위한 지원 조례

[시행 2023. 8. 7.] [제주특별자치도조례 제3487호, 2023. 8. 7., 제정]

 

제주특별자치도(친환경농업정책과), 064-710-3023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268조제2항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생산조정 및 출하조정 등 수급안정을 위하여 제주농산물의 자율적 수급안정 지원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농산물”이란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3조제6호 가목에 따른 농산물을 말한다.

2. “제주농산물”이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말한다.

3. “수급관리연합회”란 제주농산물의 생산조정, 출하조정, 품질규격 관리 등 수급안정의 효율적 이행을 위해 설립된 생산자단체의 연합조직을 말한다.

4. “생산자단체”란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3조제4호에 따른 단체를 말한다.

제3조(도지사의 책무)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이하 “도지사”라 한다)는 제주농산물의 자율적 수급안정을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에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

제4조(수급관리연합회의 설립 지원) 도지사는 제주농산물의 자율적 수급 및 가격안정을 위하여 수급관리연합회의 설립 및 수급안정사업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제5조(수급관리센터 설치 및 기능)

① 도지사는 제주농산물의 자율적 수급관리 지원을 위하여 제주농산물 수급관리센터(이하 “수급관리센터”라 한다)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

② 수급관리센터는 다음 각 호의 기능을 수행한다.

1. 제주농산물의 수급관리 실행계획의 수립 및 시행

2. 품목별 재배면적, 출하정보 및 가격정보 제공 지원

3. 품목별 제주농산물 수급안정대책의 수립 지원

4. 제주농산물 수급안정을 위한 가격안정제 지원

5. 제주농산물의 가공처리 및 마케팅 지원

6. 품질규격 위반사항에 대한 지도‧단속

7. 그 밖에 제주농산물의 수급안정을 위해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제6조(수급관리센터 구성)

① 수급관리센터에는 센터장과 사무국을 둔다.

② 도지사는 수급관리센터의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수급관리와 관련된 생산자단체 소속 임직원의 파견 근무를 요청할 수 있다.

③ 수급관리센터는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제23조제4항에 따른 출하연합회사무국의 기능과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④ 그 밖에 수급관리센터 사무국의 구성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도지사가 따로 정한다.

제7조(수급관리센터의 위탁)

① 도지사는 수급관리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제4조에 따른 수급관리연합회 또는 제주농산물 수급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 등(이하 “운영주체”라 한다)에 위탁할 수 있다.

② 도지사는 제1항에 따라 수급관리센터를 위탁하는 경우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제8조(수급관리 운영위원회의 설치)

① 운영주체는 제주농산물 수급관리 위탁사무의 효율적인 운영과 생산자 주도의 자율적 수급안정을 위해 수급관리 운영위원회(이하 “운영위원회”라 한다)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② 운영위원회의 기능과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은 운영주체가 따로 정한다. 이 경우 사전에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③ 운영주체는 자율적 수급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주농산물의 품목별 적정 재배면적, 출하시기 및 가격정보 등 관련 정보를 도지사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도지사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협조하여야 한다.

제9조(협력체계 구축) 수급관리센터는 제주농산물의 원활한 수급조절을 위해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하여 「농업협동조합법」에 따른 조합공동사업법인 및 지역농협 등 생산유통 전문 기관‧단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1. 제주농산물의 품목별, 시기별, 지역별 분산출하 및 통합물류 지원 사업 등에 관한 사항

2. 주요품목 대체품목 취급 및 출하조절 사업에 관한 사항

3. 제주농산물 매취사업 등에 관한 사항

4. 판로확대 및 통합 마케팅에 관한 사항

제10조(농업관련 통계자료 활용 등)

① 수급관리센터는 제주농산물의 적정생산량, 출하량 등을 조절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등 전문기관이 관리하는 농업관측 정보, 공공데이터 등 농업관련 통계자료를 연계 활용하여야 한다.

② 도지사는 제1항에 따른 농업관련 통계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수 있다.

제11조(준용) 이 조례에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제주특별자치도 농‧임‧축‧수산업의 수급안정에 관한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세척농산물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특화농산물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지방보조금 관리 조례」 및 「제주특별자치도 사무의 민간위탁 조례」를 준용한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1 감귤원 불청객 달팽이 소탕작전 관리자 2006-09-27 4221
130 2006년 감귤 과실크기 조사 결과 (9월 11일) 관리자 2006-09-26 3111
129 [축정과]맛 귤한우 브랜드 캐릭터 상표 등록 관리자 2006-09-22 6331
128 주요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 “예보 13호” 관리자 2006-09-22 2506
127 [감귤정책과]한·미 FTA와 제주감귤협상전략 특별 세미나 및 감귤특별대책위원회 6차 회의 개최 관리자 2006-09-22 2262
126 제주감귤 및 자생식물 추출물 구축 관리자 2006-09-21 2242
125 [감귤정책과]3년 연속 감귤 제값받기에 힘찬 도전을 합시다. 관리자 2006-09-21 2036
124 [감귤정책과]『제주 생존권 보호차원 오렌지 등 감귤류 』 한-미 FTA 협상품목 제외 추진 상황 관리자 2006-09-21 1911
123 [감귤정책과]오렌지 등 감귤류 한·미 FTA협상품목 제외 건의 관리자 2006-09-21 1930
122 수출활성화를 위한 금감전문교육 관리자 2006-09-19 2334
121 [한미FTA 3차협상 결산] 농산물 세이프가드 논의 진전 관리자 2006-09-18 3736
120 제13호 태풍 산산 북상에 따른 농작물 관리요령 관리자 2006-09-15 2397
119 차세대 "변이가지"를 시급히 찾습니다. 관리자 2006-09-14 1952
118 [한미FTA] “4차협상, 국내 영향 작은 농산물부터 수정 검토” 관리자 2006-09-13 2121
117 [보도자료]한·미 FTA 제3차 공식 협상 결과 관리자 2006-09-13 1815
116 감귤 친환경 농업은 농약안전사용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관리자 2006-09-13 1917
115 감귤열매솎기로 좋은가격 만들기 실천합시다!!!!!!!!! 관리자 2006-09-13 1969
114 9월 농업정보 관리자 2006-09-12 3118
113 한․미 FTA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 5차 회의 관리자 2006-09-11 1936
112 [참고자료]감귤에 대한 유통명령제 시행[2003.10.24] 관리자 2006-09-07 199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