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9호)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7 18:56:10      ·조회수 : 5,348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9호) -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9호)

(정보기간 : 6. 20 ∼ 7. 11)

 

  이번 예보 기간은 본격적인 장마기로 집중호우 등 강수량이 많은 시기입니다. 올 장마기간 중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6월 하순에는 흐리고 비 오는 날이 많고, 7월 중순에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으며, 기온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보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기상상황에 유의하여 농작물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배수로 정비 등 재해예방에 힘써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장마철에는 고온다습한 조건으로 각종 병 발생이 많은 시기이므로 예방위주로 적용농약을 뿌려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금회 중점방제 대상 병해충 ◆

 

◎ 노지감귤 : 흑점병, 창가병, 자나방 등

◎ 시설감귤 : 응애류, 총채벌레 등

◎ 고 추 : 역병 등

◎ 수박, 참외 : 덩굴마름병, 탄저병 등

◎ 참 깨 : 역병 등

◎ 더 덕 : 점무늬병, 줄기 썩음병 등

 

※ 농작물 풍수해 대책 철저로 피해 최소화!

 

□ 사전대책

 ○ 침수 또는 습해방지를 위한 물뺄 도랑 설치 및 재정비

 ○ 태풍 등 강풍에 대비 농업 시설물 및 농작물 사전보완작업 실시

 ○ 고온다습에 취약한 병 예방을 위하여 적용약제 필수 살포

 ○ 잦은 기압골 통과시 비래되어 발생이 많은 멸강나방 예찰 강화

 

□ 사후대책

 ○ 침수 포장은 신속한 물빼기 작업 및 병해충 방제 약제 살포

 ○ 하우스는 강풍에 의한 정전시 환기대책 신속히 하여 고온피해 방지

 ○ 유실, 도복, 가지부러짐 등 피해포장 신속한 복구 작업 실천

 

☞ 당면 병해충 발생전망 및 방제대책 ☜

 

□ 흑점병, 창가병, 자나방

 

  어린 열매에 흑점병 발생이 많아지는 시기이고 봄순에 창가병이 이병된 경우는 열매에 추가 방제를 하여야 하는 시기입니다. 어린열매가 어느 정도 커지기 시작할 때 자나방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으므로 포장 관찰을 잘 하여 초기방제 하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방제약제

 

 ○ 흑점병 : 만코지, 썬업, 포리람, 프로피 500배, 비온엠, 젤존 1,000배 등

 ○ 창가병

   - 썬업, 포리람 500배, 델란(수화제, 액상수화제, 티) 1,000배, 보가드, 푸르겐, 확시란 2,000배,

     살림꾼 3,000배 등

 ※ 흑점, 창가 동시방제 : 썬업, 포리람, 프로피, 델란, 스트로비, 프린트, 카브리오 등

 ○ 자나방 : 팔콘, 만장일치, 송골매 1,000배, 아타브론, 메리트, 2,000배 등

 

 

 

□ 귤 응애, 총채벌레

 

  맑은 날이 계속되면서 귤 응애 밀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고, 한라봉 등에 차응애, 차먼지 응애 등이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피해가 있었던 포장은 방제하시기 바라며, 총채벌레 등도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예찰을 잘 하여 초기에 방제하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방제약제

 ○ 귤 응애 : 켈센(수) 1,000배, 지존, 지페트, 킹스타, 환호성 2,000배, 주움, 엔비도 4,000배 등

 ○ 총채벌레

   - 파밤탄, 매치, 야무진, 한주먹, 솔라이트, 렘페이지 1,000배, 모스피란, 부메랑, 올가미, 아타라 2,000배,

      섹큐어 3,000배 등

 

             

창가병

흑점병

 

             

자낭방

차응애피해(열매)

 

 

※ 발췌 : 북제주군 농업기술센터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1 제주 농작물 병해충 발생 예찰 및 방제정보 관리자 2006-07-10 2116
70 제3호 태풍 『어위니아』북상에 따른 농작물 관리요령 발표 관리자 2006-07-10 2561
69 감귤의 어제와 오늘(1) 관리자 2006-07-10 13418
68 장마철 비날씨에 따른 농작물 관리대책 필요하다 관리자 2006-07-07 3152
67 [농사메모]7월 노지감귤 관리요령 관리자 2006-07-04 2534
66 감귤 병해충 방제 약제정보 관리자 2006-06-29 1974
65 청견 재배기술 관리자 2006-06-27 1819
64 한라봉 재배기술 관리자 2006-06-27 2160
63 월동수확 감귤 재배기술 관리자 2006-06-27 1908
62 하우스감귤재배기술 관리자 2006-06-27 1821
61 감귤 품질향상기술 관리자 2006-06-27 1784
60 일본농가 사례 관리자 2006-06-27 3559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9호) 관리자 2006-06-27 5348
58 제주감귤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음식 관리자 2006-06-26 1821
57 [농사메모]한라봉 적과, 품질향상의 기본 관리자 2006-06-26 2036
56 한라봉, 적과 선택아닌 필수 관리자 2006-06-23 1676
55 세계 감귤의 종류 관리자 2006-06-22 2098
54 부지화 월별 관리요령 관리자 2006-06-19 1819
53 여름철 농작물 풍수해 피해를 최소화 합시다. 관리자 2006-06-16 1777
52 < 일본, 6월 후반의 과실시황 전망 > 관리자 2006-06-14 154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