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효도 식품 "레몬"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12 10:44:26      ·조회수 : 2,405     

효도 식품 "레몬"

노화 막는 비타민C
소화 돕는 구연산 듬뿍
속쓰림 증세 있으면 꿀물에 타서 드셔야...

맛은 시지만 알칼리성 식품인 레몬. 감귤류로 분류되는 레몬을 건강 과일로
추천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첫째, 피부 건강에 유익한 비타민 C가 감귤류 중에 가장 많이 들어 있다(100g당 70㎎). 그래서 일부 미백 화장품엔 레몬의 비타민 C가 들어 있다. 또 레몬 껍질을 다져 면 주머니에 넣은 뒤 입욕제로 쓴다. 피부 땀구멍이 커서 고민인 사람에겐 레몬즙이 추천된다. 즙을 피부에 바른 뒤 잘 말리고 다시 깨끗한 물로 씻어낸다. 비타민 C의 효능을 몰랐던 과거에도 레몬은 비타민 C 보충제로 쓰였다. 십자군 원정 당시 오랜 항해로 채소.과일을 섭취하지 못한 병사들이 괴혈병(비타민 C 부족이 원인)에 걸리자 레몬을 먹였다. 요즘 노화 예방에도 비타민 C를 추천한다.노화의 원인인 유해산소를 없애는 항산화 비타민이기 때문이다. 한 가지 유념해야 할 사항이 있다. 레몬의 비타민 C는 파괴되기 쉬우므로 미리 썰어두거나 즙을 짜서 오래 두는 것은 금물. 조리 직전에 레몬즙을 짜자.

둘째, 구연산이 풍부해 피로회복에 좋다. 구연산은 레몬의 신맛 성분이다. 소화를 돕고 식욕을 되찾는 데도 유용한 유기산이다. 신진대사 산물인 각종 노폐물이 체내에 쌓이면 몸이 피곤해지는데 구연산이 이를 제거해 준다. 열이 심한 환자에게 레몬을 권하는 것은 구연산이 몸속의 노폐물을 땀과 함께 내보낸다고 믿어서다. 위산 부족으로 소화가 잘 안되는 노인에게 레몬을 ´처방´하면 구연산이 소화를 촉진한다.

셋째, 해독제 기능이다. 고대 로마인들은 레몬이 모든 독을 제거한다고 믿었다. 생선에 레몬을 얹는 풍습도 로마 때부터 시작됐다. 요즘은 해독보다 식중독균을 죽이기 위해 레몬을 생선 위에 뿌린다. 레몬에 살균(항균)작용을 하는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 서양에선 흔히 식초 대신 레몬을 사용한다. 샐러드에 레몬즙.레몬주스를 살짝 뿌리면 샐러드가 더 신선해진다. 소금 대용으로도 쓴다. 이럴 경우 고혈압.위암의 발병 요인 중 하나인 식염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가톨릭대 식품영양학과 손숙미 교수).

레몬은 향이 좋고, 표면이 매끈하면서 광택이 있는 게 좋다. 열량이 낮으므로(100g당 31㎉)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그러나 신맛이 강해 위궤양.위산 과다인 사람에겐 부적합하다. 먹더라도 레몬즙을 꿀물에 타서 섭취하되 빈 속엔 먹지 말아야 한다. 생으로 먹으면 치아의 법랑질이 상할 수 있다. 껍질을 벗기는 도중 일부 예민한 사람에게 접촉성 피부염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도 기억하자.


*** 피부 노화 개선하는 레몬 요법

레몬을 반으로 쪼갠다. 한쪽은 즙을 낸 뒤 약한 불로 데우고, 다른 한쪽은 즙을 내 나무 그릇에 담아둔다. 데운 레몬즙을 나무 그릇 위에 붓는다. 3시간 가량 방치한 뒤 손가락으로 즙을 묻혀 주름진 피부에 둥그렇게 마사지한다. 잘 마르도록 놔둔 뒤 물수건으로 닦아내고, 다시 그 부위에 올리브유를 발랐다가 씻어낸다. 이를 아침.저녁으로 수주 간 반복한다.

도움말:재미 내과전문의 이준남 박사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1 제주 농작물 병해충 발생 예찰 및 방제정보 관리자 2006-07-10 2118
70 제3호 태풍 『어위니아』북상에 따른 농작물 관리요령 발표 관리자 2006-07-10 2563
69 감귤의 어제와 오늘(1) 관리자 2006-07-10 13419
68 장마철 비날씨에 따른 농작물 관리대책 필요하다 관리자 2006-07-07 3154
67 [농사메모]7월 노지감귤 관리요령 관리자 2006-07-04 2534
66 감귤 병해충 방제 약제정보 관리자 2006-06-29 1975
65 청견 재배기술 관리자 2006-06-27 1820
64 한라봉 재배기술 관리자 2006-06-27 2162
63 월동수확 감귤 재배기술 관리자 2006-06-27 1908
62 하우스감귤재배기술 관리자 2006-06-27 1822
61 감귤 품질향상기술 관리자 2006-06-27 1787
60 일본농가 사례 관리자 2006-06-27 3561
59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9호) 관리자 2006-06-27 5350
58 제주감귤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음식 관리자 2006-06-26 1823
57 [농사메모]한라봉 적과, 품질향상의 기본 관리자 2006-06-26 2039
56 한라봉, 적과 선택아닌 필수 관리자 2006-06-23 1677
55 세계 감귤의 종류 관리자 2006-06-22 2100
54 부지화 월별 관리요령 관리자 2006-06-19 1820
53 여름철 농작물 풍수해 피해를 최소화 합시다. 관리자 2006-06-16 1777
52 < 일본, 6월 후반의 과실시황 전망 > 관리자 2006-06-14 154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