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이젠 대체연료 "간벌폐목재 화려한 변신"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30 14:13:24      ·조회수 : 2,471     

케너텍 발전소 본격 가동…고유가 해결 한몫 기대
고유가로 인해 간벌목과 폐목재의 연료화가 급진전되고 있다. 간벌목과 폐목재는 그동안 국내에서 주로 보드류 원료로 사용됐으나 최근에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폐목재를 잘게 부숴 가정용 보일러에 사용하거나 가루로 만들어 펠릿(Pelletㆍ작은 알갱이) 형태로 사용하는 유럽형 우드펠릿보일러의 도입도 추진중이다.

정부도 목재칩 표준화 기준을 마련키로 하는 등 업계의 목질계 바이오매스 사업에 대응하고 있다.

신ㆍ재생에너지업체인 ㈜케너텍은 최근 대구에 국내 첫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건립하고 가동에 들어갔다. 이는 간벌목이나 폐목재를 목재를 잘게 부순 우드칩을 연소시켜 열과 에너지를 얻는 방식. 하루에 우드칩 145t을 사용, 시간당 52t의 열과 500KW의 전기를 생산한다.

강원도는 간벌목을 재가공, 고열량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다. 재활용율 7%에 머물고 있는 간벌목을 수거, 우드칩과 우드펠릿으로 만드는 제조시설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강원랜드도 난방을 벙커C유에서 목질계 바이오 연료로 전환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내 신ㆍ재생에너지 업체들은 유럽에서 폭발적 인기를 끌고 있는 우드펠릿보일러 기술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폐목재나 간벌목의 가지, 갈대, 밀짚 등을 가루로 만들어 녹말을 혼합해 펠릿으로 만든 다음 석탄이나 석유제품 대신 연료로 쓰는 보일러. 업계 관계자는 "우드펠릿은 우드칩보다 열량이 3배나 높고 완전연소에 가까워 재가 거의 남지 않는 게 특징"이라며 "간벌목과 폐목재 회수시스템만 갖춰지면 국내에서도 유망할 것으로 판단, 기술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정환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국내에서 연간 250만t의 폐목재와 간벌목이 발생하지만 재활용은 3분의 1에 그치고 있다"며 "목질계 바이오 연료 활용 방안을 연구중이며, 우선 목재칩제조 표준화기준를 연말까지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 간벌목의 93%는 산림에 그대로 방치돼 썩고 있는 실정이다. 또 고유가로 인해 시설농가, 찜질방 등이 수거해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대기오염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목재자원 연료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m.com)

발췌 : '대중경제문화지'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1 브랜드 감귤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피복실시해야 관리자 2006-06-14 1773
50 맛있는 감귤 고르는 방법~!!! 관리자 2006-06-13 2564
49 [농사메모]하우스 밀감 수확기 관리요령 관리자 2006-06-13 2241
48 감귤착즙박의 활용을 위한 성분 검색 연구 관리자 2006-06-05 4115
47 칠레산 오렌지 및 레몬 수입금지 제외기준 제정 관리자 2006-06-05 1995
46 비상품감귤 출하하면 조합에서 '영구제명' (일본) 관리자 2006-06-02 2801
45 공동출하·공동정산·비파괴선과 '당연' (일본) 관리자 2006-06-02 2217
44 제주도감귤생산및유통에관한조례시행규칙중 개정규칙안 입법예고 관리자 2006-06-01 1967
43 제주 농작물 병해충 발생 예찰 및 방제정보(예보 8호) 관리자 2006-06-01 1740
42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은 545~598천톤 관리자 2006-06-01 1666
41 자주식(自走式)파쇄기 관리자 2006-05-30 3052
40 밀식은 제주 감귤 품질향상의 걸림돌, 소비자 원하는 맛 좋은 감귤생산 위해 간벌 필수 관리자 2006-05-30 1441
이젠 대체연료 "간벌폐목재 화려한 변신" 관리자 2006-05-30 2471
38 6월중 작목별 농업정보 관리자 2006-05-29 1927
37 간벌 [間伐, thinning] 이란???? 관리자 2006-05-29 2372
36 감귤의 출하조절 모형 구축 관리자 2006-05-29 1943
35 제주특산 농산물이용 가공소재 개발 연구(감귤정유성분 추출방법 구명) 관리자 2006-05-29 32265
34 중국 감귤산업의 특징과 문제점 관리자 2006-05-29 3441
33 감귤관측정보(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리자 2006-05-26 1975
32 감귤수출의조건(일본시장공략) 관리자 2006-05-26 152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