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통계자료

[농사메모]7월 노지감귤 관리요령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04 09:45:54      ·조회수 : 2,536     

▷고품질 적정생산을 위한 열매솎기

 -감귤 열매솎기는 생리낙과가 끝나는 7월 상순경부터 초벌적과, 마무리적과, 수상선과 순으로 실시한다. 착과량에 따라 열매가 많은 나무는 조기적과 위주로, 열매가 적은 나무는 후기 수상선과 위주로 적과 작업을 실천해 고품질 적정생산에 노력한다.

 -특히 극조생온주의 경우는 착과습성이 좋기 때문에 과다착과돼 극소과 발생이 많기 때문에 나무세력이 약화되므로 조기적과를 실시한다.

 ▷주요 병해충 방제

 -흑점병은 6월에 이어 7∼8월에도 가장 주의해서 방제해야 할 병이다. 8월말까지는 6월과 마찬가지로 누계강우량이 150㎜될 때 또는 20일 정도의 간격으로 적용 약제를 뿌려 방제한다.

 -궤양병은 태풍 내습이 예고되는 경우에 크레프논 가용한 동제를 미리 살포해주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태풍 통과 직후에라도 적용약제를 뿌린다. 해에 따라 장마가 끝나는 7월 귤응애 발생이 급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잎당 1∼2마리가 보이면 사용하지 않던 약제를 뿌려 방제한다. 보통 깍지벌레 방제적기는 7월 중순경이다. 특히 이세리아깍지벌레는 이 시기에 방제하더라도 8월 중순 다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과실을 가해하는 나방류 해충들은 3령기 이상의 유충으로 자라면 약제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작은 벌레일 때 IGR계통의 약제를 사용해 방제한다.

<농업기술원 제공>

통계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 감귤식품의 종류 관리자 2006-04-25 1958
10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9-12월) 관리자 2006-04-24 2583
9 고품질 노지온주감귤 생산관리기준(1-4월) 관리자 2006-04-21 3990
8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 방안 관리자 2006-04-20 2326
7 FTA란...? 관리자 2006-04-19 7762
6 감귤껍질의 효능 관리자 2006-04-17 4983
5 제주 감귤의 역사와 변천 관리자 2006-04-13 29648
4 제주감귤은 언제부터 재배됐을까? 관리자 2006-04-13 2135
3 한라봉품질기준(09월30일) 관리자 2005-11-12 2382
2 제주특별자치도감귤생산및유통에관한조례 관리자 2005-11-12 19105
1 선과망크기 관리자 2005-10-18 501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